earticle

논문검색

한국사회의 다문화적 상황과 기독교 평화교육의 실천을 위한 당면과제

원문정보

Multicultural Circumstances of Korean Society and Facing Problems to Practice Christian Peace Education among the Christian Community

이은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intended to search some facing problems in practicingChristian peace education among the Christian community in connectionwith the current multi-cultural situation of Korean society. For a longtime, the Korean society has emphasized its identity as a single ethnicculture. Today, however, the society is going through rapid changes intothat of a multi-cultural one. On one hand, this social change brings arichness of multi racial, cultural, and religious environment into Koreansociety, but on the other hand, it raises serious concerns about thepossibility of conflicts and struggles that cannot be controlled amongpeople who have different ra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Therefore,there is an urgent need of appropriate Christian peace education as aplan for the Korean church to responsibly answer to such socialchanges and struggles. Considering this reality, the writer brieflyintroduced the conception of multiculturalism and peace education withthe current multi-cultural situation of Korean society. Moreover, byintroducing the biblical understanding of peace, some facing problemsthat interrupt practices of Christian peace education among theChristian community are listed as follows,1. Developing integrated Christian peace education curriculum in alife-long process. 2. Organizing specialized Christian peace education agencies andnurturing professional leadership. 3. Practicing Christian peace in a multicultural society from theperspective of public faith.

한국어

오늘날 가속화되고 있는 한국사회의 ‘다문화적 상황’은 평화로운 공생사회의 형성이라는 관점에서 ‘다문화’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촉구하고 있으며, 이 문제의 해결에 있어서우리사회의 영향력 있는 한 다수주체인 기독교 에 대한 사회적 기대 또한 높아지고 있다. 한국사회는 오랜 시간 일정한 물리적 경계 내에서 순혈주의 혹은 문화적 동질성을 형성하여 ‘다름’과 ‘차이’에 대한 배타성이 강한 사회이다. 이런 상황에서 다양한 문화와 가치를인정하고 존중하는 공생사회를 이루어 나 갈 수 있는 한 방안은 다문화의 담론을 소수 외국 이주민 ‘그들’의 문제가 아닌, 그들을 ‘합법적 비존재’로 인식 하여 편견과 차별을 생산하는 다수주체인 ‘우리’의 문제로 삼는 것이다. 다문화에 관한 논의에 있어서 일반교 육 현장에서는 ‘상호이해를 통한 평화의 실현’을 위하여 ‘다문화평화교육’을 실천적으로 그리고지속적으로 확 대해 나가고 있다. 그러나 ‘평화의 주’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적 삶을 살도록 가르치는 것을 신앙교육의 주 요 실천과제로 삼는 기독교 신앙교육의 현장에서는 한국의 다문화 상황에서 공동체의 모든 구성원들로 하여 금 바람직한 평화사회의 형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교육하고 준비시키는 실천적 노력이 상대적으로 많이 부족 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먼저 한국의 다문화적 상황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다문화사회가 제기하는 문화 간 이해의 과제를 평화교육이라는 범주 안에서 조명해 보았다. 다음으로 성서적 관점에서의 다 문화이해와, 다문화 신앙교육의 한 방편으로서 기독교평화교육의 성격 및 필요성을 논하였다. 또한 다문화사 회의 이질성에 대한 극복과 조화의 씨앗으로서 요청되는 기독교 평화교육의 활성화를 위하여 한국교회가 해 결해야 할 선행당면과제를 다음의 세 가지로 제안하였다. 첫째로, 기독교 평화교육의 체계성과 지속성이라는 관점에서 한국교회적 차원에서 통합적이고 일관된 기독교 평화교육 교육과정이 평생교육 체제에서 구체화 되 어야 할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둘째로, 교과를 효과적.전문적으로 지도할수 있는 전문지도력이 양성되지 못한 다면 평화교육의 효과는 크게 기대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전문훈련을 제공할 수 있는 지도자 양성화를 위한 실 천방안을 당면과제로 제안하였다. 셋째로, 기독교 평화교육이 개인의 기독교화 혹은 개교회의 성장을 위한 또 하나의 다른 수단 혹은 프로그램이 아닌, 삶의 현장에서 하나님 나라의 평화를 만드는 중재자로서의 공적사명 을 의식하고, 참여와 실천을 통하여 한국사회에서 존재를 필요로 하는 신앙공동체를 형성해나가는 교육이 되 어야 할 것을 명시하였다.

목차

<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한국사회의 다문화적 상황과 평화교육
  1. 다문화사회의 이해
  2. 한국사회의 다문화적 상황
  3. 평화교육
 Ⅲ. 기독교적 관점에서의 다문화와 평화교육 이해
  1. 성서 속 다문화의 양상과 평화개념
  2. 다문화 신앙교육의 핵심가치로서의 기독교 평화교육
 Ⅳ. 기독교 평화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당면과제
  1. 평생교육체계로의 적절한 기독교 평화학습교재 및 교육과정의 구체화
  2. 기독교 평화교육 전문기구 및 지도력의 양성화
  3. 기독교화가 아닌 기독교적 실천으로서의 현장화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은성 Eun Seung Lee. 성결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