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한류를 통해 바라본 미래 대중문화의 방향과 기독교 문화교육

원문정보

The Korean Wave, Future Popular Culture and Future Christian Cultural Education

장신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Korean Wave (Hallyu), started as forms of Korean popular culture such as film, TV dramas, and K-Pop (Korean Pop Music), began spreading to China, Japan, Taiwan,Vietnam, Thailand, Singapore, and the rest of the Southeast Asian Region in the late 1990s. It can be defined as "Asia's increasing demand for Korean cultural contents bolstered by its ow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development as well as the qualitative development of Korean popular culture contents. "Moreover, the phenomenon of Hallyu can be seen as "the transnational acceptance of Korean culture, a crosscultural phenomenon visible especially in East Asia."The Korean Wave has now entered its third era. This study sees the Korean Wave as the cultural scout that predicts the flow of popular culture, and it attempts to construct a future model for Christian cultural education based on this phenomenon. To develop such a model, this study will first explore several interpretations on the Korean wave in terms of cultural nationalism, cultural industry, and localization of culture, then provide the limitations of each. Then, it will explore alternative interpretations of the Korean Wave such as the humanistic approach and theology of culture approach.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 model of future Christian cultural education, this study will predict the characteristics of future popular culture through the present Korean Wa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uture popular culture include 1) culture of fusion and mutuality, 2) culture of glocalizaion and cross, 3) culture of publicity, 4) culture of mediating the spirituality of the ordinary, and 5) culture of digilog (digital and analog). Finally, this study will suggest a model for future Christian cultural education focusing on 1) educational goal and direction, 2) curriculum or educational contents, and 3) teacher and student. Future Christian cultural education aims to nurture daily spirituality and Christian taste through understanding, interpretation, and critiquing popular culture. It will also encourage fostering a creative relationship between Christianity and popular culture to create a cultural community of coexistence. The curriculum focuses on 1) assessing popular culture through a Christian understanding and assessment, 2) formulating a Christian taste for popular culture, and 3) nurturing the ability to create a Christian culture of life. Finally, the model places importance on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student, which requires incarnational leadership from the teacher. Furthermore, the model emphasizes collective intelligence constructed by the teacher's and students' mutual contributions to the knowledge of Christian cultural education.

한국어

한류(Hallyu, The Korean Wave)는 1990년대 말부터 한국의 영화, TV 드라마, 가요 등과 같은 대중문화(popular culture) 가 중국, 일본, 대만을 비롯하여 베트남, 태국, 싱가포르 등 동남아 지역으로 확산되면서 시작되었다. 한류는 “아시아 국가들의 경제발전 및 사회·문화변화에 따른 다양한 문화 콘텐츠에 대한 욕구증대와 한국 대중문화 콘 텐츠의 질적 향상으로 인한한국 대중문화에 대한 외국의 선호현상과 확산과정”으로 정의 할 수 있다. 또는 “한국문화의 초국적 수용, 특히 동아시아에서의 초국적(transnational)문화횡단(cross-cultural) 현상”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제 한류는 2세대를넘어 3세대로 이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무엇보다도 한류를 미래 대중문화의 흐름을 예견하는 문화척후병(cultural scout)으로 간주하고 이에 기초하여 미래의 기독교 문화교육을 구상하는 시도를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한류의 정의와 여러 가지 발생 원인을 살펴보고, 한류에 대한 1) 문화민족주의(cultural nationalism), 2) 문화산업론(cultural industrial), 3) 문화의 지역화(localization of culture) 등에 기초한 해석을 살펴보고 이들이 가지 고 있는 한계점을 제시한다. 그리고 한류에 대한 대안적 해석으로써 1) 인문주의적(humanistic) 접근, 2) 문화신학적(cultural theological) 접근을 살펴보고, 한류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미래 대중문화의특징을 예견해본다. 1) 퓨전과 쌍방성의 문화(culture of fusion & mutuality),2) 지구지역화와 횡단을 지향하는 문화(culture of glocalizaion & cross), 3)공공하는 문화(culture of publicity), 4) 일상의 영성을 매개하는 문화(culture of mediating the spirituality of the ordinary), 5) 디지로그의 문화(culture of digilog). 마지막으로 이러한 논의에 기초하여 미래의 기독교 문화교육을1) 교육목적과 방향(educational goal & direction), 2) 교육내용(curriculum),3) 교사-학생 등에 초점을 맞추어서 제안한다. 미래 기독교 문화교육의 목적은 그리스도인들과 교회로 하여금 하나님나라의 지평에서 대중문화를 이해, 해석, 평가함 으로써 개인적으로는 기독교적 취향(Christian taste, 또는 에큐메니칼 취향, ecumenical taste)과 일상의 영성을 양육 해나가며, 공동체적으로는 대중문화와의 창조적 관계를 형성하여 공존과 공생의 생명 문화 공동체를 만들어나가는 데 기여할 수 있도록지원하는 것이다. 교육내용에는 1) 대중문화에 대한 기독교적 이해와 평가, 2) 대중문화에 대한 기독교 적 취향 형성, 3) 기독교적 생명문화를 창조하는 능력 등이 포함된다. 마지막으로 교사-학생에 있어서는 양자의 상호적 관계를 중요하게 보며, 교사에게는 성육신적 리더십을 요구하고, 양자가 함께 지식형성에 연대하여 공헌하는 집단지성 을 강조한다.

목차

논문 초록
 I. 들어가는 말
 II. 한류란 무엇인가?: 전개 양상과 원인
 III. 한류에 대한 여러 해석
 IV. 한류에 대한 대안적 해석을 위한 인문학과 문화신학의 관점
 V. 문화의 척후병, 한류를 통해 내다본 미래 대중문화
 VI. 한류를 통해본 미래 대중문화의 특징과 미래의 기독교 문화교육
 VII. 나가는 말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장신근 Shin Geun Jang.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교육학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