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formal aspects of the modern sijo have been controversial with regard to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sijo genre and its survival. The formal deviation of modern sijo poems raised the question such as how much deviation could be allowed. In this regard, this paper investigated the transformation of the sijo metrics in modern sijo and its implication. In chapter2, the metrical features of the sijo genre were discussed because they had still been controversial. This paper suggested that the metrics of the sijo should be understood as syllabic. Although the syllabic number of a colon is not fixed in a sijo, it follows less strict rules; a colon is often composed with three or four syllables, and the latter colon is greater than or equals to the former one in a half line of a sijo poem. In chapter3, the transformation of the sijo metrics in modern sijo was discussed. In Lee Ho-woo's sijo poems, which were selected as examples, the metrical features of the sijo were often transformed with regard to the poetic themes and the poet's literary consciousness. The longer colons that were often used in Lee's works were related to the anxiety and disharmonious feeling of his time. The reversed form of the half-lines also had connection with the modern poet's consciousness, which considers the poetic imagery and colloquialism as important and pursues the rhythm of free verse. In summary, the transformation of the sijo metrics in modern sijo poems occurs while the sijo metrics negotiates with the rhythmic sense of modern sijo poets. Disregarding the existing metrics would result in abstruseness, whereas sticking to the metrical rules would produce antiquated works. Therefore, the writers and the readers of modern sijo poems should be able to feel the tension between the sijo metrics and the poets' rhythmic sense and poetic consciousness.
한국어
현대시조의 형식적 면모는 시조장르의 본질 및 존립과 관련하여 논란거리가 되 고 있다. 고시조의 형태를 전제로 창작되어지는 시조 중에서 어느 정도의 일탈을 현대시조로 이해해야 하는가 하는 점이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고에서는 현대시조의 율격적 변이 양상을 살피고 그 의미에 대해 논의하였다. 제2장에서는 시조의 율격이 “반행 내의 앞마디가 뒷마디보다 짧거나 같으며(단, 마지막 반행은 종결부로서 그 반대), 각 마디는 3․4음절로 주로 구성된다.”라는 음수율적 성격을 지닌 것임을 밝혔다. 이어 제3장에서는 그러한 율격의식이 현대 시조에서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이호우 시조의 예를 들어 살펴보았다. 먼저, 3․4 음절을 넘는 過音節로 시조의 마디가 구성된 경우를 검토한 후, 이어 ‘앞마디≦뒷 마디’의 반행 형태가 전도된 경우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러한 변격이 고 시조에 비해 이호우 시조에는 훨씬 잦았음을 보았으며, 이는 시적 주제 및 시의식 과 관련하여 일어난 결과임을 알 수 있었다. 과음절의 다용은 불안정하고 부조화 스러운 정서의 표현과 관련되어 있었으며, 반행 형태의 전도는 심상과 구어에 대 한 중시, 그리고 시상과의 부합을 꾀하는 내재율적 의식 등과 관계가 있었다. 본고의 논의를 요약하면, 첫째, 시조에는 음수율과 관련된 율격 의식이 존재하 며, 둘째, 그러한 율격 의식과 작가의 리듬 충동이 교섭하는 가운데 현대시조의 율격 변이는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만일 음수율과 관련된 시조의 율격 의식을 체 득하지 못하고 그것을 무시한 채 작품을 짓는다면 난삽한 작품이 형성될 것이요, 반대로 예민한 시의식과 내재율의 감각이 부족한 채 시조의 이른바 기준 음수율만 준수하려 한다면 고루한 작 품이 만들어질 것이다. 따라서 현대시조를 짓고 감상하 는 일은 시조의 율격 의식과 시인의 리듬 충동 사이의 팽팽한 긴장감을 느끼는 일 이 되어야 한다.
목차
1. 현대시조 율격론의 쟁점
2. 고시조의 율격
3. 현대시조의 율격 변이 및 그 의미
3.1. 과음절 마디의 사용
3.2. 반행 형태의 변이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