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명화감상을 통한 통합적 교육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Effects of Integrated Educational Activities Using Famous Paintings on Children’s Creativity

정수아, 김현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integrated educational activities influence children’s creativity after art appreciation sessions, which involved viewing famous paintings and discussing what children thought and felt afterwar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 children aged 5 who attend S preschool in J cit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project activity was performed 2 to 3 times a week for 12 weeks for a total of 25 sessions. For each session, both groups followed the Nuri curriculum in the morning according to the preschool’s curriculum. In the afternoo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integrated educational activities using famous paintings while the control group continued using the Nuri curriculum. The method used in this study includes ‘Korean Comprehensive Creativity Test for Young Children (K-CCTYC)’ that was designed by Jeon (200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14.0. In summary,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exhibited improvements in creativity, such as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and imagination,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Given these findings, one can conclude that integrated educational activities using famous paintings have positive effects on children’s creativity.

한국어

본 연구는 명화감상을 통한 통합적 교육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J시에 위치한 S유치원 만 5세 40명(실험집단 20명, 통제집단 20명)으로 하였다. 교육활동은 12주 동안 매주 2~3회씩 총 25회 실시 되었다. 창의성 검사도구로는 전경원(2000)의 ‘유아 종합 창의성 검사’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하루 일과 중 오전에는 유치원 교육계획에 따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누리교육과정 수업을 진행하며 실험집단에게 오후시간에 명화감상을 통한 통합적 교육활동들이 실시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4.0에 코딩 한 후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명화감상을 통한 통합적 교육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 유아들이 통제집단의 유아들보다 유아의 창의성(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상상력)이 증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명화감상을 통한 통합적인 교육활동은 유아의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말할 수 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II.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도구
  3. 연구절차
  4. 자료 분석
 III. 연구결과
  1. 실험집단, 통제집단별 기술통계치
  2.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대한 집단 간 공분산 분석
 I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수아 Su-A Jeong. 진주 숲속나라 유치원 교사
  • 김현주 Hyun Joo Kim. 경남대학교 유아교육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