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ㆍ고등학생 대상 미디어 교육내용의 구성 방향 : 미디어 교육내용의 실태 및 요구분석을 기반으로

원문정보

Directions of Media Literacy Curriculum Organization of Teenagers : Research on Actual Media Curriculum Conditions and Needs

허영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t the direction of organization of media literacy Curriculum of teenagers at schools, based on research on the actual media curriculum conditions and needs of teenager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stly they do not received media education. A mere 36.5% of students received media education, but 65.3% of students would like to receive media education. Second, contents of media education that students received all the while were biased media use among ‘right media understanding and accept competence’. Third, contents of media education that students would like to receive differ depending on sex, middle school versus high school, main domicile, and incom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have organize to media curriculum development committee for create an independent subject for media education or run in CA activity and discretionary activity, and committee should choice right education purpose and suitable contents. Second, media education contains different contents depending on sex. Additionally, media education contents for high school students should tighten up ‘criticism of media’ and ‘making of media’, and contents of media education carry out on Ulsansi, Gyeonggido, Gangwondo, Chungcheongbukdo, Chonrado must include ‘media etiquette education’. Also, contents of all media education must include ‘critical media understanding and use competence about media’. Third, contents of ‘media etiquette education’ and ‘field trip of broadcasting company, broadcasting camp’ should participate without financial burden, and media education and campaign should be done on parents and adults.

한국어

이 연구는 실증적 연구를 통해 전국의 중․고등학생이 수강한 미디어 교육내용과 수강하고 싶은 미디어 교육내용을 분석한 후, 앞으로의 미디어교육 프로그램의 교육내용 구성 방향을 제시하고자 시행되었다. 실태 및 요구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디어교육을 받은 중‧고등학생이 36.5%에 불과해 미디어교육이 활성화되지 않은 반면, 미디어교육을 수강하고 싶은 중‧고등학생은 65.3%에 이르고 있어 교육적 수요가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그동안의 미디어 교육이 ‘올바른 미디어 이해 및 수용 능력’ 중에서도 미디어활용에 치우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중‧고등학생들이 수강하고 싶은 미디어 교육내용 중에는 성, 학교급, 거주지, 가족수입에 따라 차이가 있는 내용이 있었다. 이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미디어교육을 독립된 교과목으로 운영하거나 CA활동 혹은 재량활동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미디어 교육과정 개발위원회 등을 통해 바람직한 교육목표와 적절한 교육내용 선정을 선정해야 한다. 둘째, 교육대상이 남학생이냐 여학생이냐에 따라 미디어 교육내용을 다르게 구성해야 하고, 고등학생들은 미디어비평과 미디어제작 관련 미디어 교육내용을 강화하며,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전라지역에서 실시되는 미디어교육은 ‘네티즌 문화 등 미디어 에티켓 교육’을 교육내용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모든 미디어 교육내용에는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인 이해와 활용’에 대한 내용을 포함시켜야 한다. 셋째, ‘네티즌 문화 등 미디어 에티켓 교육’과 ‘방송국 견학, 방송인과의 만남, 방송 캠프 등 체험교육’은 경제적 부담을 갖지 않고 교육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며, 부모 및 사회구성원을 위해 미디어교육을 제공하거나 미디어의 올바른 이해를 위한 캠페인활동 등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목차

요약
 I.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및 문제
 Ⅱ. 이론적 배경
  1. 미디어환경의 변화와 미디어능력의 개념
  2. 미디어교육의 목표와 내용
  3. 한국 미디어교육 실태에 관한 선행연구
 Ⅲ. 연구의 내용과 방법
  1. 연구대상 및 조사내용
  2. 자료분석
 Ⅳ. 연구 결과
  1. 중‧고등학생들이 수강한 미디어 교육내용의 성, 학교급, 거주지, 가족수입에 따른 차이
  2. 중‧고등학생들이 수강하고 싶은 미디어 교육내용의 성, 학교급, 거주지, 가족수입에 따른 차이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허영주 Young-Ju Hur. 남서울대학교 교양과정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