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의 사상에서 본 비서인력 교수자의 역할과 역량의 의미

원문정보

A Study on the Roles and Competencies of Educators for Administrative Professionals based on Hannah Arendt's Perspectives of Praxis

조정형, 송현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educator's roles and competencies for administrative professionals and its interrelation to 'praxis' concept of Hannah Arendt. The Delphi method was conducted three times for this study. Sixteen(16) administrative professionals who have worked over seven(7) years were selected as a group of experts for the study. From this study, educators' three(3) main roles among twenty-seven(27) sub items were defined as 1) career and technical education expert, 2) human resource development expert, and 3) performance expert as administrative professional. Forty-two(42) competencies of the educators were categorized three(3) parts namely, knowledge-based section, skill-based section, and attitude-based section. The categorized competencies were alloted into 3 main roles such as career and technical education expert, human resource development expert, and performance expert as administrative professional and we also explained common competencies which covers the whole main roles. The result suggests that the administrative professional educators should develop and perceive their roles not only knowledge mediator based on academic research and analysis but also career designers who lead the administrative professionals as a role-model who challenge the corporate needs actively.

한국어

본 연구는 전문비서를 양성해 내는 비서인력 교수자의 역할 및 역량을 도출하고 역량에 대한 인문학적 가치를 파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3차에 걸 쳐 델파이 연구를 실시하였다. 역량기반시대에 실무수행자들이 시대의 요청을 가장 민 감하게 인식할 수 있으리라는 예측에서 비서 경력 7년 이상의 현직비서 16명을 전문 가 집단으로 선정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최종 3차 14명 응답). 연구결과, 비서인력 교 수자의 주요역할은 총 27개로 도출 되었으며 크게 직업교육전문가, 인적자원개발전문 가, 비서직수행전문가로 구분할 수 있었다. 비서인력 교수자의 역량은 지식, 기술, 태 도, 세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총 42개의 세부역량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비서인력 교수자들의 비서학 분야에 대한 부단한 연구 와 시대흐름의 분석을 통하여 단순히 지식의 전달자로서의 역할 뿐만 아니라 비서집 단의 미래상을 제시하고 대변할 수 있는 역할 모델 제시라는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진 로설계자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는 결론을 제시하였다. 또한 Arendt의 인간활동의 3 가지 차원을 역량과 결합하여 ‘역량’ 연구의 해석학적 확대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 역 량의 세 가지 요소 중 기술과 지식은 Arendt가 말한 노동(labor)과 작업(work)의 수준 에 대칭되며, 태도 측면의 가치가 Arendt의 행위(action)의 실현을 촉진하는 토대가 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비서인력 교수자의 역할과 역량을 제시함으로 써 대학의 교수자와 외부 전문기관에 위탁교육 형식으로 수행되는 평생교육과정의 비 서인력 교수자들이 향후 역할 수행 및 역량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역량기반교육의 등장과 비판
  2. Arendt의 인간적 활동의 개념
  3. 교수자의 역할 및 역량
 Ⅲ. 연구방법
  1. 설문 대상자
  2.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및 논의
  1. 비서인력 교수자의 역할
  2. 비서인력 교수자의 역량
  3. Arendt의 ‘행위(praxis)’ 관점에서 본 비서인력 교수자들의 역할과 역량의 의미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조정형 Cho, Jung Hyong. 한국관광대학교 국제비서과 겸임교수
  • 송현정 Song, Hyeon-Jeong. 부산외국어대학교 국제비서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