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여성국극의 발전과 활성화를 위한 정책 토론회

민족의 음악극으로서의 여성국극에 대한 오늘날 우리들의 과제

원문정보

Today, Our Decisions for Yeoseong-Gukgeuk; Korean Ethnic Music Play

손태도, 최종민, 최상화, 한상일, 조수동, 박일훈, 김영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ur own culture is more important than former times in the era of globalization. So Yeoseong-Gukgeuk (여성국극. women music play using songs like Pansori) and Changgeuk (창극. music play using songs like Pansori) can get a stall at the World Theatre Festival held at Korea. If we couldn't perform like these, foreigners may think that there is no Korean ethnic performance. In the case of relation with North Korea, so does it. Really could we perform Musical or Opera entered from western countries in ethnic ceremony, South Korea with North Korea. It is impossible. We could preserve our language, but couldn't preserve our song during the Japanese colony period. Our popular song history has sustained by accepting foreign songs since our new folk song gave way to Trot (트로트. a popular song came from Japanese song) in the 1930s What about our music play? Opera and Musical take place the role, because Changgeuk hasn't its successful music play style yet. Didn't we have successful music play? There was Yeoseong-Gukgeuk that showed I do not think so. Beginning in 1948 until the early 1960s to show that the explosive success from the 1948 to the early 1960s. So thanks for Korean overall economic development, Jo, Geum Aeng (born 1930), Kim, Jin-Jin (born 1931), Jo, Yeong-Suk (born 1934), Kim, Gyeong-Soo (born 1937) and so on. famous actresses of early Yeoseong-Gukgeuk that couldn't forget the glory, used to restarted Yeoseong-Gukgeuk since 1983. However, their activities from will end by themselves, because there is no young successor in that field. When the actresses of early Yeoseong-Gukgeuk disappear one by one by advanced ages, what will we count at Yeoseong-Gukgeuk? People are able to look at several things depending on their interests. I want to value high the works performed from 1948 to 1954, advertising them 'Ethnic Opera' at the news papers, as Korean music play. Women pansori singers used to have partispated Changgeuk made a successful music play until then. Afterward Yeoseong-Gukgeuk rapidly was downed its high music level, because a lot of ordinary girls came into its field after it's the biggest jackpot at that time. So it became a little different one after that. Thus we need to regard Yeoseong-Gukgeuk performed from 1948 to 1954 as a Korean successful music play, and we should create today's successful music play by basing on that. For this purpose at least in the city of Seoul (tentative title) Seoul Municipal Changgeuk Band should be made before the early actresses pass away completely. Otherwise it is at least needed to make the early actresses Seou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ossessors to preserve and hand down their arts. We only are preserving and handing down Korean language almost completely among the our native major cultures, Korean language, Korean song, Korean music play, Korean clothes, Korean house, etc. However we evidently had a successful Korean music play in the era of Yeoseong-Gukgeuk that hung the slogan of 'Ethnic Opera' from 1948 to 1954. We also even have a clue to make today's successful music play on the base of it. We sometimes didn't have the strength to protect our native cultures in the past, but now considerably have the strength to protect them. So we no longer lose ours.

한국어

세계화 시대일수록 우리의 고유문화를 보다 분명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서 평소 관심을 갖지 않던 창극이나 여성국극도 우리나라에서 열리는 세계연극제 같은 데서는 한 자리를 차지한다. 그러한 우리 고유의 공연예술이라도 없다면, 외국인들이 과연 한국에도 한국만의 공연예술이 있기라도 한 것인가 의심할 것이기 때문이다. 북한과의 관계에서도 그렇다. 민족적 차원에서 이뤄지는 행사들에서 과연 서양에서 받아들인 오페라, 뮤지컬 같은 것을 공연할 수 있을 것인가? 그럴 수는 없는 일이다. 일제강점기를 겪으며 우리는 우리말은 지켰으나, 1930년대에 신민요가 트로트에 밀린 이후부터 우리는 우리의 노래는 잃어버리고 말았다. 1930년대 이후 우리 대중가요사는 대체로 외래적 노래들을 받아들이는 것으로 점철되고 있는 것이다. 우리의 음악극은 어떤가? 1902년 이래의 창극(판소리 계통의 음악극)이 아직도 자리를 잡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오페라, 뮤지컬 등 서양의 음악극이 우리의 음악극 자리를 차 지하고 있다. 그러면 우리에게는 성공한 음악극이 없었는가? 그렇지는 않다. 1948년에 시작되어 1960년대 초기까지도 폭발적인 흥행을 했던 여성국극이 있었다. 그래서 1983년 이후에는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문화 발전에 힘입어 조금앵(1930년생), 김진진(1931년생), 조영숙(1934년생), 김경수(1937년생) 등 초창기 여성국극인들이 과거의 화려했던 때를 잊 지 못해 다시 공연들을 한동안 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들의 활동은 이들에게서 끝날 것이 다. 뒤를 잇는 후배들이 없기 때문이다. 이제 고령으로 인해 초창기 여성국극인들이 하나, 둘 사라져 갈 이 때에 우리는 여성 국극을 어떻게 바라보아야 할 것인가? 각자의 관심에 따라 여러 가지 것들을 바라볼 수 있을 것이다. 필자는 이 시점에서 광고 선전에 ‘민족오페라’란 말을 내세우곤 했던 1948년 부터 1954년까지의 여성국극이야말로 성공적인 우리의 음악극의 하나였다는 것을 중요 시하고자 한다. 그때까지만 하더라도 종래 창극을 하여 왔던 여성 판소리인들이 그들의 창극 능력을 활용해 나름대로 성공적인 음악극을 한 것이다. 이 무렵의 대성공들로 이후 많은 사람들이 여성국극계에 갑자기 들어와 여러 여성국극단들이 생기게 됨으로 인해 이 후 여성국극은 음악극으로서의 면모를 급격히 상실하며 조금 다른 계통의 공연물이 되고 만다. 그러므로 1948년에서 1954년까지의 여성국극을 성공적이었던 우리의 음악극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고, 이때의 여성국극을 바탕으로 오늘날에도 성공적인 우리의 음악극을 만들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초창기 여성국극인들이 고령으로 완전히 사라지기 이전에 이들이 주로 살고 있는 서울시 차원에서라도 이들의 음악극 공연술을 전수받을 수 있는 ‘(가칭) 서울시립창극단’을 만들 필요가 있다. 아니면 초창기 여성국극인들을 서울시 무형 문화재 보유자들로라도 지정하여 그들의 예능을 보존, 전승할 필요가 있다. 우리말, 우리노래, 우리음악극, 우리옷, 우리집 등 우리의 주요한 문화들 중 오늘날 제 대로 보존, 전승되는 것은 우리말 정도다. 그러나 1948년부터 1954년까지 ‘민족오페라’란 말을 내세우며 대흥행을 하던 여성국극 시대에는 우리에게도 성공적인 우리의 음악극이 있었다. 또 이를 바탕으로 지금에라도 우리의 성공적인 음악극을 만들 수 있는 단서라도 마련해 두어야 한다. 과거에는 우리가 힘이 없어 우리의 것들을 많이 잃어버렸으나, 지금은 우리에게도 상 당한 힘이 있으니 더 이상 우리의 것을 잃지 말아야 한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여성국극의 전개
 3. 오늘날 여성국극의 공연예술사적 의의
 4. 오늘날 여성국극의 보존ㆍ전승ㆍ발전 방안
 5. 맺음말
 참고사항
 <여성국극 연구 동향>
 Abstract

저자정보

  • 손태도 Son, Tae-Do. 한국예술종합학교
  • 최종민 前 국립창극단 단장/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교수
  • 최상화 중앙대학교 예술학부 교수
  • 한상일 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교수
  • 조수동 상명대학교 예술대학 겸임교수
  • 박일훈 국립국악원 원장
  • 김영산 문화체육관광부 예술정책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11,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