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초등학생의 지각된 스포츠관여도, 친구관계 질, 사회성 간의 인과모형 : 운동장 유무 조절효과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causal model among sport invol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quality of friendship and sociality : Focusing moderating effects by playground existence

임수원, 이혁기, 한윤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moderator effect in the causal model among sport involvement, quality of friendship and sociality. For this, this study sampled 140 elementary school 5th and 6th grade students who have playground and 136 elementary school 5th and 6th grade students who don't have playground, a total of 293 elementary school 5th and 6th grade students were sampled. In order test, AMOS 18.0 program was in this for multiple group analysis. As a result, first the sport involvement had directly significantly effect on sociality. second the sport involvement had directly significantly effect on quality of friendship. third the quality of friendship had directly significantly effect on sociality. Especially, This study showed a higher path coefficient the school in playground group and the school without playground group on the causal relation between sport involvement and sociality.

한국어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스포츠관여도, 친구관계 질, 사회성 간의 가설적 인과모형을 설정하여 운동장 유무에 따른 조절효과를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 5학년과 6학년을 대상으로 운동장이 없는 학교 학생 136명, 운동장이 있는 학교 학생 140명, 총 293명을 표집하였다.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관여도는 사회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관여도는 친구관계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친구관계 질은 사회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과모형에 대한 운동장 유무에 따른 다집단 분석에서 운동장 있는 학교 집단이 운동장 없는 학교 집단보다 스포츠관여도와 사회성 간의 인과관계에 있어 더 높은 경로계수가 나타났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가설 및 연구모형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조사도구
  3. 신뢰도 및 타당도
  4. 자료처리 및 절차
 Ⅲ. 결과 및 논의
  1. 모형 적합도 평가
  2. 집단 간 경로계수 차이검정
 Ⅳ.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S

저자정보

  • 임수원 Lim, Soo-Woen. 경북대학교
  • 이혁기 Lee, Hyuck-Gi. 경북대학교
  • 한윤수 Han, Yoon-Soo. 경북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