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Even though the research related to the role of sports player have been frequently performed, the empirical case study of a specific player how he or she affects on national image has been limi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study how the image of a sports player, Yuna Kim, affected Korean people’s attitude. In order to test this effects, Bandura’s social cognitive theory and Gerbner’s cultivation theory were suggested. Also, structural equational model(SEM) using by LISREL was used to test three hypotheses suggested. Through testing hypothesis, it was found out that exposure to Yuna Kim’s play was directly related to Korean people’s pride through hypothesis 1. Simultaneously, Korean people’s pride was directly related to national image formation through hypothesis 2. Finally, it was found out that the exposure to Yuna Kim’s play was indirectly related to national image formation through hypothesis 3.
한국어
스포츠 스타의 역할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스포츠 스타의 효과에 관련된 실증적인 논문은 제한되어 있다. 기존의 연구들이 유명 스포츠 스타의 등장이 국가 이미지 상향에 많은 영향을 준다는 데 동의를 하지만, 그에 대한 서베이 그리고 실험 등을 이용한 실증적인 연구가 부족하다. 이 논문의 목적은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김연아 선수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세계적인 스포츠 스타 출현이 자국민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벤두라의 사회인지이론과 거버너의 배양이론을 인용하였고, 리즈렐(LISREL)을 이용한 구조방정식을 운용하여, 제시된 3가지 가설들을 분석하였다. 부연 설명하자면, <가설 1>을 통하여 미디어를 통한 김연아 선수의 우승 장면이 한국 국민의 자부심에 직접적인 영향(direct effects)을 미쳤다는 것을 밝혔고, <가설 2>를 통하여, 형성된 자부심이 국가 이미지에 직접적인 영향(direct effects)을 미쳤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밝혔다. 마지막으로 미디어에 대한 노출이 국민들이 생각하는 국가 이미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기보다는 미디어에 대한 노출로 통해 이룩된 자부심이 간접적으로 국가 이미지를 향상(indirect effects)시킨다는 <가설 3>을 제시 및 통계적 유의미성을 발견하였다.
목차
1. 서론
2. 문헌연구
1) 사회인지이론
2) 배양이론
3) 스포츠 경기와 애국심
3. 연구문제
4. 분석
5. 분석 방법
6. 변인의 측정
1) 김연아 선수의 우승 장면
2) 한국인으로서의 자부심
3) 국가 이미지
7. 최종 분석
8.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