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충북 민속 문화 엠블럼 개발 연구 - 충청북도 전통시장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mblem as Chung-buk Folk Culture - Focus on Chung-buk Traditional Market -

정유경, 송연호, 장효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Folk culture is hidden vernacular design great cultural significance as a content element. ‘The folk culture of the 2012 Chung-buk’ to take on the basis of the folk culture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operation was attempted on Tuesday will be content. This is a 'folk culture of product development' business was done through industry cooperation. In this study, the development of folk culture emblem Chung-buk establish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local traditional market, creating new brand for the development of inducing merchandising purposes. First, the traditional market on the market through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of images was 12 Chung-buk traditional market place for customers to visit the site investigation was conducted. Research and storytelling concepts and derive measures that were established in the emblem design. Through the development of a new formulation of this design is the emblem tradition sufficient to establish market differentiation is becoming a cultural content looks enjoy.

한국어

문화콘텐츠 요소로서 지역의 민속 문화는 숨겨진 버나큘러 디자인으로써 의미가 매우 크다. 충청북도에서는 ‘2012 충 북 민속문화의 해’를 맞이하여 민속 문화를 바탕으로 문화상품 개발을 위한 콘텐츠화 작업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그 중 산학협력으로 실시된 충북전통시장에 관한 ‘민속문화상품개발’에 관한 것이다. 즉, 이 연구의 목적은 충북 민속 문화 엠블럼 개발 정립을 통해 충북 전통 시장의 새로운 브랜드 가치를 창출하여 상품화 개발을 유도하는 것이다. 우선, 전통시장에 관한 자료 수집을 통하여 시장 이미지를 분석하였고, 충북 전통시장 12곳을 직접 방문하여 현지조 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수많은 스토리텔링을 통한 콘셉트를 연구하고 이미지를 개관적으로 도출하여 엠블럼 디자 인의 방안을 확립하고 진행하였다. 충북전통시장의 특성을 살린 엠블럼의 개발은 전통시장의 경쟁력을 향상과 시장 의 상인과 주민들로 하여금 자긍심을 부여하고, 지역 산업과 시장의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발 을 통해 새롭게 정립된 충북전통시장 엠블럼은 지역브랜드로서의 문화 콘텐츠의 역할을 기대해본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1.1. 연구배경
  1.2. 연구범위 및 방법
 2. 지역브랜드로서 충북시장
  2.1. 전통시장과 지역브랜드
  2.2. 충청북도 전통시장의 특징
 3. 충북 시장의 엠블럼 디자인
  3.1. 전통시장과 엠블럼
  3.2. 충북시장의 상징요소 추출
  3.3 디자인 제안
  3.4 디자인 개발(통합성/ 개별성)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정유경 Jung Yu Kyung. 경기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 송연호 Song Youn Ho. 한국교통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
  • 장효민 Jang Hyomin. 한국교통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