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디지털 경영

일-가정 촉진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 :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

원문정보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Facilit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정세희, 차윤석, 손아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defined that the construct of work-family is not the opposite meaning but the construct having positive synergy effects each other. For more meaningful implications to HR pratitioner in the era of smart working, Data collection was done from the manufacturing companies in Kyungsangnamdo and hierarchical regression was conducted.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facilit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between work-family facilit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the result, we have proposed some implications. First, we should study more detail processes between work-family facilit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not only continuous commitment but also affective and normative commitment. Second, we could know that not only work-family balance but also work-family facilitation could positively impa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re when we design the job of employees, we should consider the family issues of job holder.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일(work)-가정(family)은 대립적 관계가 아닌 서로 보완적 관계이며, 이들 간의 긍정적 상호작 용이 조직 및 개인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일-가정 촉진(work-family facilitation)이 조직몰입에 긍정적 영향이 있 음을 실증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스마트워킹시대 인사 관리자들에게 조직관리의 새로운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진행되었 다. 이를 위해 부산‧경남지역의 일반 기업체 근무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 후 위계적회귀분석을 실시 하였다. 연구결 과 일-가정 촉진은 조직몰입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가정 촉진과 조직몰입 간 의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는 지속적 몰입을 제외한 정서적 및 규범적 몰입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술적으로는 조직지원인식이 구성원들의 지속적 몰입에 긍정적 관계가 있음을 확인 하였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일-가정 촉진과 정서적 및 규범적 몰입 간의 긍정적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추가 메커니즘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고, 실무적으로는 일-가정 균형 뿐만 아니라 일-가정 촉진, 즉 일과 가정 간의 긍정적 상호 작용이 조직 및 개인의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직무설계시 직무 뿐만 아니라 개인의 가 족 상황을 고려한 설계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일-가정 촉진
  2.2 조직지원인식
 3. 연구설계 및 분석
  3.1 가설 설정
  3.2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도구
  3.3 자료분석 방법
 4. 실증분석
  4.1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4.2 가설검증 결과
 5. 결론 및 논의
 ACKNOWLEDGMENTS
 REFERENCES

저자정보

  • 정세희 Se-Hee Jung. 동아대학교 경영학과
  • 손아진 Ah-Jin Son. 동아대학교 경영학과
  • 차윤석 Yunsuk Cha. 동아대학교 경영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