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매일신보』에 나타난 평양지역의 3ㆍ1운동과 기독교계의 동향

원문정보

The 3ㆍ1 Movement and the Christian party in Pyeongyang reported on the Mai-il Shinbo

황민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imed to explore the process and character of 3ㆍ1 Movement lead by the Christian party in Pyeongannam-do and Pyeongyang through the Mai-il Sinbo and the documents of the General Staff of Chosun. In Pyeongannam-do, the early aspect of 3ㆍ1 Movement lead by the Christian party largely was seen as peaceful demonstration. Given the reports in Mai-il Sinbo about the number of cases and its contents, it might be thought that the Chondo-kyo party lead the relatively more active and violent demonstration than Christian party. Moreover, it was the figures who related with the Event of 105 People' Case, such as Lee Seung Hoon, Kil Sun Ju, Ahn Se Hwan, Lim Chi Jung, Byeon In Seo and were graduates of Soong-sil University that lead the 3ㆍ1 Movement in Pyeongyang of Christian party. And the 3ㆍ1 Movement held in Soong-Deok School was successful under the Yun Won Sam, Jeong Il Seon, Gang Gyu Chan, and the Moffett, missionary also stood his ground the positive attitude to 3ㆍ1 Movement. The students of Soong-sil University in Pyeongyang played the important role in the spread of demonstration to the Pyeungyang and its fringe area, trying to spread out systematically the 3ㆍ1 Movement visiting missionary school and village. Moreover, they distributed the documents, such as 『Tongnip Shinmun』, 『Warning』 , 『Urgent Notice』 to people in Pyeongyang. Finally, as outbreaking the 3ㆍ1 Movement, Japan cast doubt and animosity against the missionaries, because Japan thought that there were missionaries beyond the movement. The houses of Moffett, E. M. Mowry, Baird were unexpectingly searched by Japan, and Mowry was imprisoned and deported by Japan. And Japan continued to maliciously propagate missionaries through the Mai-il Shinbo, and sought to strengthen the political offense to them using press corps in Pyeongyang and the Congregational Church. From this, we could find the fact that the Japanese reaction to the missionaries reflected that the missionaries and Christian parties actively participated in 3ㆍ1 Movement.

한국어

이 논문은 『매일신보』와 조선군참모부의 기록을 중심으로 평안남도와 평양지역 기독교계의 3ㆍ1운동 과정과 그 특징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평남지역에서의 3ㆍ1운동은 크게 보면 기독교계가 주도한 운동 초기의 양상은 비교적 온건한 평화적 시위의 비중이 높았던 것으로 나타난다. 『매일신보』에 나타난 시 위 건수와 내용으로 보았을 때 기독교계보다는 천도교계가 상대적으로 적극적이고 과격한 형태의 운동을 전개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평양지역 기독교계의 3ㆍ1운동은 이승훈을 중심으로 길선주, 안세환, 임치정, 변인서 등 105인사건 관련자들과 평양 숭실학교 출신의 활동이 중심이 되었던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숭덕학교 교정에서 개최된 3월 1일의 만세운동은 윤원삼, 정일선, 강규찬의 주도하에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으며, 선교사 마펫도 3ㆍ1운동에 긍정적 인 태도를 견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평양과 주변지역으로 시위운동의 확산에는 평양숭실학교 학생들의 역할이 컷던 것으로 보이는데 이들은 평양외곽의 기독교계 학교나 마을을 찾아가서 3ㆍ1운동이 보다 조직적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뿐만 아니라 숭실학교 학생들은 『독립신문』, 『경고』, 『급고』 등의 문서를 인쇄하여 평양시내에 배포하였다. 끝으로 3ㆍ1운동이 발발하자 운동의 배후에 선교사들이 개입하고 있다고 판단한 일제는 선교사들에 대해 강한 의구심과 반감을 들어내고 있었다. 일제는 평양지역의 저 명한 선교사 마펫과 모의리, 베어드 등의 집에 대해 기습적 가택수색을 실시하였으며, 모의리를 구속 추방하였다. 그리고 일제는 󰡔매일신보󰡕를 통해 선교사들에 대한 악의적인 선전활동을 지속하였으며, 재평양 기자단과 조합교회 등을 이용하여 선교사들에 대한 지속적인 정치공세를 강화하고자 했던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런데 일 제의 선교사들에 대한 이같은 대응은 평양지역 선교사들과 기독교세력이 3ㆍ1운동에 적극적으로 가담하고 있었음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하겠다.

목차

Ⅰ. 머리말
 Ⅱ. 3ㆍ1운동 이전 평양지역 기독교사회
 Ⅲ. 『매일신보』를 통해 본 평남지역 3ㆍ1 운동의전개 양상
 Ⅳ.『매일신보』에 나타난 평양지역에서의 3ㆍ1운동
  1. 기독교계의 3ㆍ1운동 전개
  2. 선교사의 3ㆍ1운동 참여와 일제의 대응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황민호 Hwang, Min Ho. 숭실대학교 사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