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토벽화 균열부 보강에 사용되는 충전제 적용 연구

원문정보

Study on Application of Filling Material for Reinforcement of Soil Murals in Buddhist Temple

이경민, 이화수, 한경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conservation of damaged object should be restored by the similar material with the original and they have to reversibility as possible as.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t mural paintings composed of clay are with soft material. So far, there have been a number of researches done on filling material that reinforces cracks and exfoliation of mural painting. Based on the application of traditional materials, it was found that they are appropriate to various applications. However, only based on those research results, there are some constraints to the application in the field. In addition, there has been only a few researches done on physical characteristics of filling materials. A major issue is that there is not any standard established on various mixing ratio, which is required for treatment of mural painting.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filling materials on clay mural painting. The 1st test was conducted to analyze test specimen in twelve different conditions by varying soil mixing ratio and organic medium. The 2nd test was conducted to manufacture filling materials appropriate to the mural painting, based on the result of stable condition from the 1st test, and which was applied to treatment in field.

한국어

문화재의 손상 부위를 대상으로 하는 보존 처리는 원 유물의 재료와 유사한 물질로 복원하고 재처리가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흙으로 구성된 우리나라의 사찰 벽화는 연질의 재질적 특성을 지니고 있는데, 그간 벽화의 균열과 박락 부위 보강에 사용되는 충전제(메움제)에 관한 연구들이 진행되었고, 전통 재료 활용의 적합성이 여러 연구 결과를 통해 밝혀졌다. 그러나 현재 이러한 연구 결과만을 가지고 사찰 벽화 보존 처리 현장에서 적용하기에는 몇 가지 제한점이 있다. 이는 충전제의 물리적 특성 연구가 부족하였으며 실제 보존 처리 시 요구되는 다양한 혼합 비율에 대한 규격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는 점이다. 본고에서는 토벽화 충전제의 물리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1 차 실험은 토양 혼합비 및 유기 매제를 달리한 12 조건의 의사시료를 제작하여 비교 분석을 실시하고, 2 차 실험은 1 차 실험에서의 안정적인 조건의 결과를 토대로 실제 보존 처리 대상의 벽체 조건에 맞는 충전제를 제작 및 테스트 후 보존 처리에 적용하였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충전제 특성 연구
  2.1. 1차 실험
  2.2. 1차 실험결과
  2.3. 2차 실험
  2.4. 2차 실험 결과
 3. 고찰
  3.1. 실험 결과 고찰
  3.2. 적용성 고찰
 4.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이경민 Kyeong Min Lee.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이화수 Hwa Soo Lee. 한국전통문화대학교
  • 한경순 Kyeong Soon Han. 건국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