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茶山 丁若鏞의 관용(tolerance) 관념 : 서(恕) 개념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thoughts of Dasan Jung Yak Young's tolerance: Focusing on the concept of 'Seo(恕)'

다산 정약용의 관용(tolerance) 관념 : 서(恕) 개념을 중심으로

안외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thesis, as part of a study into the idea of tolerance especially in the Joseon Dynasty's Confucianism, aims to search for the basis of new understanding about the recent theory of tolerance through the concept of 'Seo (恕: equal consideration of myself and others, tolerance)' of Dasan Jung Yak-Young (丁若鏞, 1762-1836), who struggled to reconstruct a community for the new Confucian civilizat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With the principle of 'equal consideration of myself and others' applied, the concept of 'Seo' was based on 'In (仁: benevolence)' determined as 'pursuing reciprocal coexistence with others'; this contains more active and comprehensive implication than the original, passive concept of 'Seo' and reinterpreted the older concept. In short, Dasan recognized the original idea of 'Seo' as tolerance only at the level of 'passive consideration' which after all distorted the concept of 'Seo' of Confucius and Mencius primitive Confucianism and he believed that the true ideal of 'In' would be realized when understanding on 'Seo' as a rule of 'active consideration' that can replace the original concept is restored. Likewise, if 'tolerance' just fundamentally means 'enduring yet unwillingly,' it cannot be a standard of appropriate relational morality that can heal the conflicts of the multicultural age at which so many 'different' individuals must coexist. Instead, under the ultimate goal of pursuing mutual, reciprocal coexistence of humans [仁], Dasan's persuasion that the active morality of Seo (恕) under which one truly understands others by putting himself in their place is needed and this can be presented as an alternative for the concept of tolerance, which is most needed especially for the multicultural age.

한국어

이 논문은 조선 유교의 관용 관념을 고찰하기 위한 일환으로 조선 후기 새로운 유교적 문명공동체 재건을 고민하였던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의 서(恕) 개념을 통해서 작금의 관용론에 대한 재인식의 토대를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자신과 타인의 동등 고려(忖他心如我心)’ 원칙이 적용되는 다산의 서(恕) 개념은 ‘타인과의 호혜적 공존 추구(人與人之至也)’를 인(仁)으로 규정한데 기초한 것으로, 기존의 소극적 의미의 서(恕) 개념을 넘어 보다 적극적이고 포괄적인 함의를 지니는 것으로 재해석한 것이었다. 요컨대 다산의 경우 기존의 서(恕) 인식은 ‘소극적 배려’ 차원의 관용으로서 결국 공맹 원시유교의 서(恕) 개념을 왜곡한 것으로 이해하고 그 대안으로 ‘적극적 배려’의 준칙으로서의 서(恕)에 대한 이해를 회복할 때 인(仁)의 진정한 이상도 구현할 수 있다고 보았다. 마찬가지로 오늘날 운위되는 ‘관용’ 혹은 ‘똘레랑스’가 본질적으로 ‘단지 싫지만 참아준다’는 것을 의미한다면 너무나 다양한 ‘차이’의 주체들과 공존해야 하는 다문화시대 갈등을 치유하는 적절한 관계윤리로서의 준칙이 될 수 없다. 대신 인간의 상호 호혜적 공존을 추구[仁]한다는 궁극적인 목표 하에 타인을 진정으로 자신의 처지에서 이해하려는 적극적인 서(恕) 윤리가 필요하다는 다산의 주장이야말로 다문화시대에 가장 필요한 관용의 개념의 대안이라고 본다.

목차

<국문 요약>
 Ⅰ. 왜 恕인가? 그리고 茶山인가?
 Ⅱ. 다산의 恕개념: 『論語』에 나타난 두 갈래 恕의 종합
 Ⅲ. 恕의 상위 개념으로서의 仁의 성격
 Ⅳ. 恕의 실천: 容恕에서 推恕로
 Ⅳ. 요약과 결론적 함의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안외순 Ahn, Woe-Soon. 한서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