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Testing Validity of Students’ Peer Assessment in Translation Classes

원문정보

Kim, Hoon-mil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본 연구는 타 학문에서 활발히 사용되고 있는 동료 평가 및 동료 감수가 번역 수업에서도 효용성을 가지는지 파악하기 위한 첫 단계로 번역수업 중 수행된 동료 평가의 타당성(validity)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고에서는 학부 과정의 BA 번역수업에서 수집한 동료평가와 교사평가 자료를 피어슨 상관분석으로 분석함으로써 동료평가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동료평가는 번역물에 총점만을 부여하는 총체적 평가(holistic assessment)와 4개의 평가 기준에 대해 각각 1-6 사이의 등급을 부여하는 분석적 평가(analytic assessment) 두 가지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데이터 분석 결과 총체적 평가에서는 피어슨 상관계수가 통계적 수준에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분석적 평가에서는 4개의 평가 기준을 모두 포함할 때 학생과 교사의 평가가 5% 오차범위 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r = .262). 이는 교사와 학생의 총체적 평가 간에 상호연관성이 없음을 의미하며 교사와 학생의 분석적 평가 간에는 낮은 상관관계가 존재함을 의미한다. 다시 4개 평가 기준을 독립적으로 분석한 결과 “의미”영역에서는 1% 오차범위 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나 (r = .569), “표현”, “문체”, “중재” 영역에서는 상관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 결과 번역 수업 및 번역 경험이 거의 없는 학부생이 수행한 번역물에 대한 동료 평가는 “의미”를 기준으로 한 분석적 평가를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교사의 평가를 기준점으로 할 때 타당성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번역물 평가에 대한 내재화된 기준 부재와 주어진 평가 기준에 대한 명확한 개념 미비가 주원인으로 사료된다.

목차


 1. Introduction
 2. Relevant Literature
  2.1. Peer Assessment Studies in Education
  2.2. Peer Assessment Studies in Translation
 3. Method
  3.1. Setting and Participants
  3.2. Instruments
  3.3. Data Analysis
 4. Results and Discussion
  4.1. Research Question 1: Validity of students’holistic assessment
  4.2 Research Question 2: Validity of student assessment using analytic rubric
 5. Conclusion and Implications
 References
 APPENDIX

저자정보

  • Kim, Hoon-mil 김훈밀. Hanyang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