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examines the organizational climate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three different types of autonomous high schools which Lee Myung Bak administration symbolically initiated in 2010: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 autonomous public high schools, and innovative high schools. As a result, teachers of innovative high schools perceived organizational climate more positively than those of autonomous private and public high schools in terms of commitment behavior and disengagement behavior. The perception of teachers was more positive for autonomous public high schools than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s. Regarding the principal's behavior, innovative high schoolteachers perceived teacher-oriented behavior and bureaucrat-oriented behavior of their principals more positively than their counterparts, and the perceptions were more positive for autonomous public high schoolteachers than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teachers. Teachers of autonomous public high schools and innovative high schools perceived their principal’s behavior more positively than those of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s in terms of goal-oriented behavior. On the other hand, with regard to academic self-efficacy, students’ self-confidence showed no difference among the three types of autonomous high schools. However, students of autonomous private and public high schools showed higher levels of task difficulty preference and self-regulatory efficacy than their counterpart.
한국어
2010년부터 고등학교 체제에 본격적으로 도입된 자율형사립고, 자율형공립고, 혁신고는 서로 상반되거나 차별되는 교육가치와 비전 및 철학을 기반으로 설립·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세 학교를 관통하는 공통의 가치는 자율성과 책무성이다. 이 연구는 이명박 정부에서 전격적으로 도입된 이 세 가지 유형의 학교들이 운영을 시작한 지 4년째를 맞이하는 현 시점에서 각 학교의 교사들이 지각하는 조직풍토와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수준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조직풍토 중 교사행동 차원의 친교적 행동은 학교유형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고, 헌신적 행동과 방관적 행동에 대해서는 혁신고의 교사들이 자율형공립고와 자율형사립고의 교사들보다, 자율형공립고의 교사들이 자율형사립고의 교사들보다 더 긍정적으로 지각하였다. 학교장의 행동 차원 중 인간지향적 행동과 관료지향적 행동에 대해서는 혁신고의 교사들이 다른 두 유형 학교의 교사들보다, 자율형공립고의 교사들이 자율형사립고의 교사들보다 더 긍정적으로 인지하였다. 학교장의 목표지향적 행동에 대해서는 자율형공립고와 혁신고의 교사들이 자율형사립고의 교사들보다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한편,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경우, 하위요소인 자신감은 학교 유형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과제난이도 선호와 자기조절효능감에 있어서는 자율형사립고와 자율형공립고의 학생들이 혁신고의 학생들보다 더 높은 수준을 보였다. 이 연구는 분석결과의 맥락을 선행연구와 연계하여 짚어보고, 발전방안을 논의하였다.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자율고와 혁신고의 정책적 태동 배경
2. 자율고와 혁신고의 운영 현황
3.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자료의 분석
Ⅳ. 분석 결과
1. 학교의 조직풍토
2. 학업적 자기효능감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