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clusion an aim for prevention as it is considered the effectiveness analysis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s. For this, the type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s was categorized and a perception survey was conducted of adolescents who live an area applied to each type. The type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s a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categories; Information-delivery type, Event type, Emotional empathy type and Participatory type. A perception difference shows statistically all similar results. First of all, the recognition type is high in Emotional empathy type and Participatory type and Information-delivery type is lower than other types in satisfaction for policing and satisfaction of program detail. Next, female students show the lowest satisfaction for gender than male student. By school year, 6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is the highest and 1st grade in high school is the lowest relatively. By type, it is generally low in Information-delivery type. Finally, it suggests to pursuit continuous development of programs such as Emotional empathy type or Participatory type.
한국어
이 연구는 경찰의 학교폭력 예방대책 유형에 따른 인식도 및 만족도에 대한 차이검증을 통하여 예방대책의 지향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지방청별 학교폭력 예방대책을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각 유형에 해당하는 지역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인식차이를 분석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서는 경찰청의 「학교폭력 예방 및 근절을 위한 지방청별 추진 성과 보고서」와 2012년 5월 경찰청 주관 여론조사 전문기관에서 수행된 설문조사데이터를 2차 자료로 활용하였다. 여기서 16개 지방청의 학교폭력 예방대책의 유형은 각 4개의 지방청이 유사한 유형으로 군집되었으며, 해당 유형은 정보전달형, 이벤트형, 정서공감형, 체험형으로 명명하였다. 예방대책 유형별 인식조사결과 경찰활동, 예방프로그램에 대한 인식도와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유형별 인식도는 정서공감형과 체험형에서 높게 나타났고, 경찰활동 및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만족도는 다른 유형에 비해 정보전달형이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성별에 따른 만족도는 여학생의 경우 남학생보다 정보전달형에서 가장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또한, 학년별로는 초등학교 6학년이 가장 높고 상대적으로 고등학교 1학년에서, 유형별로는 전 학년에서 정보전달형이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연구결과, 경찰의 학교폭력 예방대책에 대한 효과성은 인식도와 만족도를 통해 대부분 긍정적인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다만, 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차이에 따라 일방향적․단기적 프로그램의 범위를 축소하는 한편, 관련 기관과의 연계를 통한 가-피해 학생 대상의 상담 및 치료프로그램은 관련 전문기관에 연계하고, 경찰은 가해자 선도프로그램 등 체험형 프로그램에 학부모 참여를 의무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설계 및 방법
Ⅳ. 분석결과 및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