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고령자와 치매 환자의 인지 수준에 따른 작업 수행 및 여가 활동 참여 정도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Occupational Performance and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Level Research According to Cognitive Level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백영림, 이재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roblem of performing occupational and activities that are currently participating items, according to whether the cognitive level reported by the elderly with dementia Methods : This study analyzed the occupational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s of 30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who participated in practice targets during the 7th process to training elderly dementia occupational therapist. The occupational performance evaluation used the Dementia Care Assessment Package (DCAP),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 Interest Checklist (IC), and Allen Cognitive Level Screening (ACLS), and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analyzed using a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Results : The number of occupational performance items for dementia patients reported through the COPM was 122 in total, with 52 self-management areas (42.6%), 46 leisure areas (37.7%), and 24 productivity areas (19.7%). The elderly with dementia reported a difficulty in performing individual management in the selfmanagement area, and a difficulty in performing household management in the productivity area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ir ACLS performance. As for the leisure area, as the group which is more than ACLS 5.0 reported the difficulties of static and dynamic recreation and the other two groups did the difficulties to carry out social activities, it showed the different results from those of the previous two areas. Evaluation of leisure activities could be found that there are no great changes in the leisure activities that have frequently been carried out in the past and now in the group which is more than ACLS 5.0, while those in the cognitive and social activities were reduced in the other two groups. Conclusion : The result of the study has found tha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matter area of working performance that the aged and patients with dementia realize and the leisure activity item that they now participate in according to cognitive level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appropriate therapeutic activities and an occupational therapy arbitration should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evaluation results.

한국어

목적 : 고령자와 치매 환자들이 보고하는 작업 수행의 문제 및 현재 참여하고 있는 여가 활동 항목을 인지 수준에 따라 알 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제 7회 고령자 치매 작업치료사 교육 중 실습 대상자로 참여한 고령자와 치매 환자 30명의 작업 수 행 평가 결과를 분석하였다. 작업 수행 평가는 치매 조호 평가집(Dementia Care Assessment Package; DCAP), 캐나 다 작업수행측정(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 여가 활동 평가(Interest Checklist; IC), 알 렌 인지 수준평가(Allen Cognitive Level Screening; ACLS)를 사용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는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COPM을 통해 고령자와 치매 환자들이 보고한 작업수행 항목은 총 122개 항목으로 자기관리 영역이 52개 (42.6%), 여가 영역이 46개(37.7%), 생산성 영역이 24개(19.7%)로 나타났다. ACLS 수행 수준에 따라서는 자기 관 리 영역에서는 개인 관리 수행의 어려움을, 생산성 영역에서는 집안관리 수행의 어려움을 보고하였다. 또한 여가 영역 을 살펴보면 ACLS 5.0 이상인 집단에서는 정·동적 레크레이션을, 다른 두 집단에서는 사회적 활동 수행의 어려움을 보고하여 앞의 두 영역과 다른 결과를 나타내었다. 여가 활동 평가에서 ACLS 5.0 이상인 집단에서는 과거와 현재 자 주 수행하고 있는 여가 활동에 큰 변화가 없는 반면 다른 두 집단에서는 인지적 활동과 사회적 활동에서 과거와 현재 자주 수행하고 있는 여가 활동이 줄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인지 수준에 따라 고령자와 치매 환자들의 인식하는 작업 수행상의 문제 영역과 현재 참여하 고 있는 여가 활동 항목에는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평가 결과에 따라 적절한 치료적 활동과 작업치료 중재가 제공되어 야 함을 제안하는 바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도구
  3.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1. COPM 수행 항목 분석
  2. 인지 수준에 따른 여가 활동 평가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백영림 Paik, Young-Rim.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작업치료과
  • 이재신 Lee, Jae-Shin. 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