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경주지역 적석목곽묘의 위계구조 검토

원문정보

The research about the class structure of the wooden chamber tombs with a stone mound in Gyeong-Ju region.

최수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research is to study the social classes through the tomb builder's group. The tomb builder groups are divided into six classes. The class differences are not identified in not only relics, but also the distribution of the tombs. Class1 included golden crowns, golden belts, and glasses, which is not found in other tombs. It was the best quality and quantity among all the other tombs. In addition, it had the biggest group A, B in the wooden tombs. Class2 included golden crowns and golden wares. It had group B, C in wooden tombs, which is smaller than group A. Crowns were not included in Class3. But ornaments and golden wares were buried. It had group B, C in wooden tombs. From the class4, there was a huge difference among class1~3 when compared with the contents of the relics and the size of the tombs. In class4, necklaces, earings, equipments for riding horses were found. The size of the tomb was group C, D, which is much smaller than class1~3. In class4, the wearing and burial authority were not identified. In contrast, pots, farming tools, armors, and, equipments for horses were buried. The size of the wooden tombs are group C, D. Finally, class5 had only the pots and the size is group C, D. Class1, 2 included in the highest class were shown in the center area in Gyeong-Ju region and the class were getting lower in the country side. When the results is adapted to social class in Shila era in an actual way, class1, 2 are for the King, first class(Sunggoul), and second class(Jingoul), class3, 4 for the nobles, class5 for the people. In addition, it is estimated that class1~4 were the leader of the Shila society. The tomb builder groups had the mind for distinguishing themselves in their inner society, showing their identities and differences with other tombs. It is understood that the minds and identities led the deep differentiation of the classes in the society.

한국어

본 연구는 경주지역 적석목곽묘 축조집단의 위계분석을 통하여 사회적 신분구조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적석목곽묘 축조집단은 크게 6등급의 위계가 확인되었다. 각각의 등급 차이는 유물 내용상에서도 확연히 드러나지만, 특히 분포 권역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Ⅰ등급에서는 다른 등급에서 확인되지 않는 금제 관, 금제·금동제 대금구, 유리제품 등을 포함하고 있어 최고 수준의 질적, 양적 우위를 보이고 있다. 또한 목곽의 규모에 있어서도 가장 큰 규모의 A, B군을 점한 다. Ⅱ등급은 금동제 관, 금속제 용기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목곽의 규모는 Ⅰ등급보다 작은 B, C군을 점 하고 있다. Ⅲ등급은 관은 매납되지 않고 흉식, 금속제 용기 등을 포함하며 목곽의 규모는 B, C군을 점하 고 있다. Ⅳ등급부터는 앞의 Ⅰ~Ⅲ등급에 비해 유물 구성과 목곽의 규모에서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 Ⅳ등급은 일 반적인 경식, 이식, 마구류 등이 매납되고, 목곽의 규모는 Ⅰ~Ⅲ등급보다 월등히 작은 C, D군을 점하고 있다. Ⅴ등급은 착장형위세품과 보유형위세품은 보이고 않고 토기류, 농구·공구류, 무구·마구류만이 매납 된다. 목곽의 규모는 C, D군을 점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Ⅵ등급은 오직 토기류만 매납되고 목곽의 규모는 C, D군을 점하고 있다. 최상위 위계에 속하는 Ⅰ·Ⅱ등급은 경주 중심권에만 분포하며 외곽지역으로 갈수록 위계의 정도는 점점 약화되어 간다. 이와 같은 위계 등급을 신라 신분 사회에 실질적으로 적용해보면 Ⅰ·Ⅱ등급은 왕·왕족, Ⅲ~Ⅴ유형은 귀 족신분, Ⅵ유형은 일반민으로 상정된다. 그리고 Ⅰ~Ⅴ등급이 실질적으로 신라사회를 이끌어가는 지배계 층으로 볼 수 있다. 이처럼 신라인들은 신분(지위)과 혈연관계에 따라 특정 계층으로 결정되며 이에 따라 정치, 사회, 경제적 특권과 의무가 뒤따르는 것으로 생각된다. 적석목곽묘 축조집단은 그들 내부에서도 서로를 구별지으려는 의식을 가졌을 뿐만 아니라 다른 묘제와의 차별성과 정체성을 강하게 표출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차별의식과 정체성은 사회 조직 내에서 신분 분화(위계화)의 심화를 가져온 것으로 파악된다.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연구 동향과 방법
  1. 연구 동향
  2. 연구 방법
 Ⅲ. 적석목곽묘의 발굴성과적 정의
 Ⅳ. 유적 현황과 편년
  1. 유적 현황
  2. 편년
 Ⅴ. 유형 분류와 위계 등급 설정
  1. 유형 분류
  2. 등급 설정
 Ⅵ. 위계구조의 특징
  1. 분포 권역 설정
  2. 위계구조의 특징
 Ⅶ.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수형 Choi, Su-Hyoung. 울산문화재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