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elastic band exercise on balance and knee muscle functions in 22 elderly women(exercise group=11, control group=11) residing in G Cit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static and dynamic balance for the balance functions test.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extensor and flexor muscle for the knee muscle functions test. Taken together, both static and dynamic balance was improved in the balance functions after the band exercise and both extensor and flexor muscle was also improved in the knee muscle functions after the band exercise. Therefore, it suggests that the elastic band exercise may improve elderly women's leg muscle and balance functions without exceeding their power.
목차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탄성밴드운동프로그램
3. 측정항목 및 방법
4. 자료처리
Ⅲ. 결과
1. 균형감각의 측정결과
2. 무릎관절의 근기능 측정결과
Ⅳ. 논의
1. 균형감각에 미치는 영향
2. 무릎관절의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참고문헌
- 1김경룡, 방현석(2006). 남녀 체육학생 관절부위별 등속성 근기능의 성차에 관한 연구. 한국발육발달학회, 14(4): 27-42.
- 2김은주(1999). 근력강화운동이 노인의 균형수행력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3김정하(2013). 댄스스포츠와 등속성 운동이 퇴행성무릎관절염을 가진 중년여성의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4김현갑(2003). 탄성밴드를 이용한 무릎관절 근력강화운동이 노인들의 균형조절 능력에 미치는 영향.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 5김현수, 박우영(2005). 노인체력검사와 평가. 서울; 대한미디어.
- 6The effect of rubber-band exercise on daily living fitness among stroke patient네이버 원문 이동
- 7Effects of Exercise Training on Strength and Balance for the Elderly네이버 원문 이동
- 8박시영(2002). 10주간의 탄성밴드 운동이 고령 여성 고혈압 환자의 혈압, 혈중지질 농도 및 생활체력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 미간행석사학위논문.
- 9손조욱(2005). 걷기운동이 양로시설 여성노인의 생리적지수, 체력, 자아존중감, 우울과 생활만족도에미치는 영향. 고신대학교 대학원 미간행석사학위논문.
- 10장기간의 골다골증[실은 골다공증] 예방운동이 노인의 인체부위별 골밀도 수준에 미치는 효과네이버 원문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