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xt structure and textuality of the press releases of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The press release of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consists of a header, a title, contents, attachments, and footer. The header provides information on the preparing person, the receivers, the use, and the reporting date. But the press release of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omits information on the receivers, the use, and the reporting date. Mostly titles end in noun, and don't contain grammatical items for tense expression. Contents consist of lead sentence, body text, and outlook sentence. The lead sentence explains roughly the whole picture of the incident, and it is crystallized in the body text. Lastly, long-range outlook on the incident is attached.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textuality of the press releases. The result of analysis is that the press releases of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are lacking in the cohesion and coherence. Lacking in the coherence is mostly due to the problems shown below. 1) There is a lack of the key point in the title. 2) There is a lack of the specific details in the contents. And lacking in the cohesion is mostly due to the grammatical errors. The patterns of errors detected by this investigation is as follows. 1) Using ‘-(으)ㄴ 것임’ without precedent discourse 2) the misuse and abuse of ‘및’, ‘등’ 3) omission of important constituent of sentence 4) error of using particles 5) unnecessarily long sentences 6) error of included sentence 7) err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tituents of sentence.
한국어
경찰청의 보도자료는 전체 구조의 형식뿐만 아니라 문장·문단 구성 등의 미시적 구조에서 타 기관의 보도자료와는 다른 독특한 특징을 보여준다. 이에 본고에서는 경찰청 보도자료 구 조가 지닌 특성을 살펴보고 경찰청 보도자료의 텍스트성을 거시적 관점과 미시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경찰청 보도자료는 ‘‘머리말-표제-내용(전문-본문-전망-부가 설명)-붙임-꼬 리말’로 구성된다. 이중 머리말은 보도자료의 장르 기반적 특성을 보여주는 부분인데, 일반적 인 보도자료의 머리말에서 발신 정보와 수신 정보, 자료 정보, 사용 정보 등이 제공되는 것과 달리 경찰청 보도자료의 머리말에는 ‘수용자, 사용 정보, 작성일’ 정보가 누락되어 있다. 표제 의 경우, 단순 표제는 대부분 명사로 끝맺음하고 시간 표현이 나타나지 않지만 복합 표제에서 는 두 표제 중 서술형의 형식을 취하는 표제에 시제가 표현되기도 한다. 내용 부분은 사건을 개략적으로 소개하는 전문, 내용을 상술하는 본문, 사건에 대한 경찰청의 전망이 이어지는 구 조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 새로운 개념을 정의하거나 기관에 대한 정보를 상술하는 부가 설 명이 추가되기도 한다. 또한 ‘붙임’과 담당자의 연락처를 알리는 ‘꼬리말’이 순차적으로 텍스트 를 구성하고 있다. 한편 경찰청 보도자료의 구조 분석을 바탕으로 텍스트 전체의 응결성과 응집성을 분석하 였는데, 그 결과 텍스트의 응결성과 응집성은 표제와 내용 간, 또는 내용의 하위 단위들 간의 의미적․문법적 연관 관계를 통해 확보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텍스트의 응집성은 1) ‘표제’가 ‘내용’의 핵심 정보를 담고 있는가, 2) 표제에서 내용으로 이어지면서 서술의 내용이 구체화되는가를 기준으로 검토하였는데, 경찰청 보도자료에서는 위의 두 가지 기준을 충족하 지 못해 텍스트의 응집성이 결여된 경우를 종종 찾아볼 수 있었다. 텍스트의 응결성은 1)텍스 트 전체에서 주제와 관련된 핵심 표현들이 반복․재수용․구체화되고 있는가 2) 해당 텍스트 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언어 표현들이 문법적인가를 기준으로 검토하였다. 특히 경찰청 보 도자료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언어 표현들을 분석한 결과, 선행 발화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피의자 검거 사례를 나열할 때나 해당 사건의 개요를 간략히 서술할 때 ‘-(으)는 것임’ 구조를 사용하거나, ‘및’과 ‘등’을 부적절하게 사용하거나 지나치게 남용하는 경우가 많음을 확인하였 다. 또한 조사나 문장 성분을 과도하게 생략하여 정확성을 결여하거나 문장의 길이가 길고 내 포문이 많아 주어와 서술어 간 호응, 안은문장과 안긴문장의 성분 간 호응 등이 어긋나는 경 우가 많았다.
목차
1. 서론
2. 경찰청 보도자료의 구조
3. 보도자료의 텍스트성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