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국가안보의식과 조직몰입도, 직업만족도가 특수경비원들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The multidimensional influence of commitment on national security, job satisfaction, and job commitment on intent to leave

정주섭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ecurity officers' intent to leave their job would have devastating effects on national security related industries. That is because excessive turnover would result in wasting the money for recruiting and training for organizations as well as putting the level of national security at risk. Therefore, this study has a goal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 of leave job among security staff working for one of public institution, airports(n=198). Specifically, this study has a focus on examining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job commitment and security staff's level of commitment on national security on their turnover intent. The results of the multivariate ordinary lest square regression analysis reveal that job satisfaction, job commitment, and the level of national security commitment directly influence turnover intent. Also,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level of national security commitment has indirect impact on the turnover intent via job commitment. However, the results indicate that gender, age, and educational level are not related with security staff's decision to leave their job. Policy implications and study contribution were discussed in this study.

한국어

특수경비원들의 이직의도는 국가안보와 관련된 산업과 시설들의 안전에 직․간접적인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이는 이들의 높은 이직의도가 관련 산업에 새로운 고용 및 훈련 등을 통한 비용의 손실을 가져오는 측면뿐만 아니라 국가기간시설들에 대한 경비를 담당하고 있는 경우, 국가의 안보와 국민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공항의 보안 및 안전과 치안을 담당하는 198여명의 신입특수경비원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이직의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이들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데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국가안보의식, 직업만족도, 그리고 직업몰입도가 이들의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분석결과 특수경비요원들의 국가안보의식과 직업만족도 그리고 직업몰입도는 이들의 이직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직업만족도와 국가안보의식은 직업몰입도에 의해서 중재되어 간접적인 영향을 또한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이직의도와 관련된 것으로 알려졌던 성별, 나이, 그리고 교육의 정도는 유의미한 관련요인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한 정책적 함의와 이 연구의 공헌점이 결론과 논의 부분에서 논의되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분석
 Ⅲ. 연구분석방법
 Ⅳ. 연구분석결과
 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주섭 Jung, Joo-sub. 가천대학교 경찰ㆍ안보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