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스마트폰 사용과 플로우(Flow) 형성 요인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Smart Phones Uses and Flow Formation Factors

김정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study has shown the relationship of Flow variables while using smart phones from the perspective of user experience design factors. The study has derived user experience design factors and verifi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we defined research model with user experience design, involvement, Flow and antecedants of Flow (skill, challenge, control, arousal and telepresence) and verified relationship to show that user experience design is positive to Flow via telepresence, skill, challenge and involvement. We also found out that skill is positive to challenge. Secondly, we concluded that there is no gap among groups, according to gender, manufacture and the purpose of use.

한국어

본 연구는 스마트폰 사용 과정에서 플로우를 형성 하는 다양한 변인들의 관계를 사용자 경험 디자인 변 인을 중심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에서 도출한 사용자 경험 디자인의 세부 변인을 중심으로 한 스마트폰 사용 과정에서 플로우를 형성하는 각 변 인들 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구조방정식 연구 모 형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사용자 경험 디자인, 관여도, 플 로우 및 플로우의 선행 변인(숙련도, 도전감, 통제감, 각성, 원격실재감)으로 구성된 연구 모형을 설정하고 영향 관계를 검증한 결과 사용자 경험 디자인은 원격 실재감, 숙련도, 도전감, 관여도를 통하여 플로우 (Flow)에 정적인 영향을, 원격실재감, 숙련도, 도전 감, 관여도는 역시 플로우에 정적인 영향을 나타내었 으며, 숙련도는 도전감에 정적인 영향력을 나타내었 다. 둘째, 배경 변인에 따른 연구 결과의 차이를 분석 한 결과 성별, 제조사, 이용 동기에 따른 집단 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매체 이용에 있어서 플로우(Flow)
  2.1. 플로우의 개념
  2.2. 플로우의 개념적 모델
 3. 연구 설계
  3.1. 연구 모형 및 연구 문제
  3.2.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4.1. 조사의 개요
  4.2. 측정 도구의 평가
  4.3. 연구 모형 검증
  4.4. 연구 모형 분석 및 수정
  4.5. 사용자 경험 디자인 변인 분석(연구문제 1)
  4.6. 연구 모형에서 각 변인들의 영향 분석(연구문제 2)
  4.7. 배경 변인에 따른 연구 결과의 차이 분석(연구문제 3)
 5. 결론
  5.1. 연구의 요약 및 시사점
  5.2. 연구의 함의 및 한계점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정이 Kim, Jung Yi. 성결대학교 멀티미디어공학부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