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성인 여성학습자의 부적응 도식유형에 따른 우울, 정서조절 방략의 집단 간 차이

원문정보

Group Clustering by Early Maladaptive Schema and Group Differences in Depression, Emotion Regulation Style among Adulthood Female in Lifelong Education

김현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natural grouping of adulthood female in terms of sub-factors of maladaptive schema. Results from a cluster analysis with a sample of early adulthood female in lifelong education(N = 229) indicated the presence of four clusters. “insufficient self-control maladaptive schema group” was characterized by being high on risk/disease vulnerability, fusion, unrelenting standards, emotional inhibition, entitlement, the middle on BDI, and low on the response of cognitive emotion condition tactic. “adaptive schema group” was relatively low on all sub-factors of maladaptive schema and low on BDI, high on the response of emotion condition tactic(cognitive, empirical, behavioral). By contrast “egomaniacally disconnection/rejection maladaptive schema group” was characterized by being high on emotional deprivation, social isolation, desertion/unrest, mistrust/abuse, defectiveness/shame, failure to achieve, dependence/incompetence, subjugation, insufficient self-control, high on BDI, and low on the response of emotion condition tactic(cognitive, empirical, behavioral). Finally, “other directedness maladaptive schema group” scored highest on self-sacrifice of maladaptive schema and mild depression, middle on the response of emotion condition tactic(cognitive, empirical, behavioral).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mplication to counseling practice for adulthood femal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are being discussed.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성인 여성학습자의 부적응 도식 하위요인을 조합할 때 어떤 자연발생적인 군집이 형성되는지, 그리고 이 집단들의 우울수준 및 정서조절(인지적, 체험적, 행동적) 방략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 및 대구․경북지역 평생교육원 수강자 중 30-50대 성인기 여성 229명을 대상으로 군집분석 한 결과, 4 집단으로 분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군집 1은 ‘자기통제 결여 부적응도식 집단’으로 부족한 자기통제 도식이 높았고, 정서억제, 위험에 대한 취약성도 상대적으로 높았다. 군집 2는 ‘적응도식 집단’으로 모든 부적응 도식 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군집 3은 ‘자기중심성 단절 및 거절 부적응도식 집단’으로 부족한 자기통제와 자기희생을 제외한 모든 부적응 도식 점수가 전반적으로 높고 특히, 정서적 결핍, 사회적 고립, 유기, 결함수치심과 같은 단절 및 거절 도식이 높게 나타났으며, 군집 4는 ‘타인중심성 부적응도식 집단’으로 자기희생, 융합, 복종 도식의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우울 수준은 ‘자기중심성 단절 및 거절 부적응도식 집단’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자기통제 결여 부적응도식 집단’, ‘타인중심성 부적응도식 집단’ ‘적응도식 집단’ 순이었다. ‘적응도식 집단’은 다른 집단에 비해 우울수준이 가장 낮았고, 정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군집유형에 따라 정서조절 방략의 집단 간 차이를 나타냈다. 인지적, 체험적, 행동적 정서조절 방략 모두 ‘적응도식 집단’이 가장 높고 ‘자기중심성 단절 및 거절 부적응도식 집단’이 집단이 가장 낮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추후연구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목차

요약
 방법
  연구대상
  측정도구
  분석방법
 결과
  변인의 평균 및 표준편차와 변인 간 상관계수
  군집분석 결과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현아 Kim, Hyuna. 서울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