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초등학교 사회적 기술 요소 탐색

원문정보

An Exploration of the Social Skill elements in the Elementary School

장진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social skill elements by each grade necessar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The result shows the following. As a result of literature review and Delphi examination, the social skills necessar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composed of 6 areas and 55 skills. For the number of social skills for each area, there are 13 skills for self-recognition and adjustment, 6 skills for recognition of others, 17 skills for relation management, 7 skills for learning performance, 9 skills for problem-solving and 3 skills for situational behavior. The discrepancy rate of the social skills needed in western and in Korea elementary students was shown 19% for self-recognition and adjustment, 0% for recognition of others, 32% for relation management, 30% for learning performance, 31% for problem-solving and 25% for situational behavior, and the total discrepancy rate was shown 19%. Therefore, the social skills appropriately established for our culture shall be used when the social skills are applied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element of social skills necessary for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different from western culture. It was resulted from the cultural difference. Because it often feels not good in korean culture and it feels good in western culture about the same social skills. In addition, the cultural difference leads to different experiences people have been trained since early years, so the skills korean child is not familiar but western child is familiar are encouraged to master in more higher schools. It meant that the social skills established for our culture must be used rather than using the social skills established for the western culture.

한국어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생에게 필요한 사회적 기술 요소를 탐색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델파이 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 초등학생에게 필요한 사회적 기술은 6개 영역 55개의 기술로 구성되었다. 각 영 역별로는 자아 인식 및 조절 영역이 13개, 타인 인식 영역이 6개, 관계 관리 영역이 17개, 학 업 수행 영역이 7개, 문제 해결 영역이 9개, 상황적 행동 영역이 3개로 구성되었다. 서양의 초등학생에게 필요한 사회적 기술과 우리나라의 초등학생에게 필요한 사회적 기술의 불일치 도는, 자아 인식 및 조절 영역이 19%, 타인 인식 영역이 0%, 관계 관리 영역이 32%, 학업 수 행 영역이 30%, 문제 해결 영역이 31%, 상황적 행동 영역이 25%였으며, 전체적으로는 19% 의 불일치도가 나타났다. 따라서 초등학생에게 필요한 사회적 기술을 적용할 때에는 우리가 독자적으로 구축한 사회 적 기술을 사용하여야 한다. 초등학생에게 필요한 사회적 기술의 목록은 서양의 문헌에서 제 시한 사회적 기술과 어느 정도 다른 양상이 나타났기 때문이다. 이는 문화적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같은 사회적 기술이라도 서양의 문화에서는 긍정적인 기술로 인식되는 것이 우리의 문화에서는 필요하기보다 부정적인 것으로 인식되기 때문이다. 문화적 차이는 어렸을 때부터 받아온 훈련의 차이도 유발하는데, 그로 인해 서양의 어린이들에게 익숙한 기술이 우리나라 초등학생에게는 익숙하지 않은 기술이라, 좀 더 높은 학교급에서 익히는 것이 장려되기 때문 이다. 이는 우리가 서양에서 구축한 사회적 기술을 그대로 받아들이기보다는 우리의 문화에 맞게 구축한 사회적 기술의 목록을 사용해야 함을 의미한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사회적 기술의 정의
  2. 사회적 기술의 구성 요소
 III. 연구 방법
  1. 델파이 조사 대상
  2. 델파이 조사 도구
  3. 자료 처리 방법
 IV. 연구 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장진희 Jang, Jinhee. 비룡초등학교 교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