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n Impact of Brand's Multidimensional Image on Brand Trust and Loyalty - Focused on Goodtre Co brand in Buyeo County -
초록
영어
Strategic role of brand image has been proven in extensive literature as it is considered as distinct component in designing the marketing mix to building sustainable competitive edge. This study is to examinate an empirical study how effect of brand image(symbolic, functional, experiential, economical)) and brand trust upon brand loyalty in co-brand of agriculture goods, that is GOODTRAE in korea. specifically this study conceptualizes that brand trust to GOODTRAE influence brand loyalty. which leads to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In these brand trust would have the mediating role between brand image and brand loyalty. In the empirical analysis, we found that brand image of functional, and experiential would have a positive affect brand trsut. I verified the assumption that brand trust of agriculture would mediating role between brand images and brand loyalty in the agriculture brand, and the result perfectly supported that assumption of it. Th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esented, too.
한국어
농산물의 브랜드이미지와 브랜드신뢰는 구매자들에게 브랜드 충성도를 촉발하며, 궁극적으로 유ㆍ무형의 브랜드 가치를 제고시킨다. 이는 동태적인 농산물 시장환경에서 장기지향성의 고객을 확보할 수 있으며, 고객의 가치생애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전략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부여군 굿뜨래 공동브랜드를 대상으로 브랜드의 다차원적 이미지와 브랜드신뢰 간의 영향관계, 브랜드신뢰와 충성도 간의 관계, 브랜드의 다차원적 이미지와 충성도에 있어서 브랜드신뢰의 매개역할을 분석하였다. 회수되고 정제된 설문 172부를 분석한 결과, 브랜드이미지(기능성, 경험성)와 브랜드신뢰 간에 유의적인 관계였으며, 브랜드신뢰가 충성도에 정(+)의 영향관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브랜드신뢰가 브랜드의 다차원적 이미지와 브랜드충성도에 있어 매개역할을 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농산물 브랜드시장에서 무엇보다도 우리 고유의 브랜드 개발도 중요하지만, 농업 선도국가에서 개발된 Carmel(이스라엘; 원예작물), Delmonte(미국; 음료), Dole(미국; 바나나, 파인애플), Enza(뉴질랜드; 사과, 배), Sunkist(미국; 오렌지), Washington apple(미국; 사과, 복숭아), Welch‘s(미국; 포도음료), Zespri(뉴질랜드; 키위)처럼, 브랜드이미지의 지속적인 관리를 통한 브랜드의 자산가치를 제고시킬 방안을 지속적으로 모색해야 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2.1. 브랜드이미지 및 선행연구
2.2. 브랜드신뢰와 충성도 간의 관계
3. 연구조사방법
3.1. 변수의 조작적 정의
3.2. 조사방법
4. 실증분석
4.1. 응답자 특성
4.2. 신뢰성과 타당성분석
4.3. 기술통계량과 상관관계분석
4.4. 가설검정
5. 결론
5.1. 연구요약과 시사점
5.2.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방향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