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상대 높임의 등급 전환 양상 연구

원문정보

Research on the Aspects of the Advanced Korean Language Learners’ Code-switching in the Relative Honorification

최주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order to analyze the aspects of code-switching in the relative honorification, I examined the advanced Korean learners’ 45 letter texts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appears the most common code-switching in advanced Korean learners’ letter texts occurs between 2 degrees. The learners alternate between ‘hapsyo and haeyo’ styles, ‘hapsyo and hea’ styles, ‘hapsyo and haera’ styles, ‘haeyo and hea’ styles, ‘haeyo and haera’ styles, ‘haera and hae’ styles. Among these switchings, ‘hapsyo-haera’ and ‘haeyo- haera’ style are not allowed in the relative honorification usage. Second, the switching among three degrees of the relative honorification are ‘hae-haeyo-hapsyo’ styles, ‘haera-haeyo-hapsyo’ styles, ‘haera-haeyo-hap syo’ styles, where the switching among ‘haera-haeyo-hapsyo’ styles are unusable. It is particularly noteworthy ① that the case of advanced Korean learners use ‘hae’ style as selftalk. The learners use ‘hae’ style as interrogative and admirative final ending, ② Advanced Korean learners appear to use ‘haera’ or ‘hae’ style to express their emotions and feelings actively. It can be very positive aspect for the advanced Korean learners to use ‘hae’ and ‘haera’ styles actively when they choose the degree of relative honorification. However, it is needed in Korean teaching to present the proper range of usage for ‘haera’ style to learners so that they can use Korean relative honorification appropriately.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고급 학습자가 생산한 편지글 45편을 단락을 중심으로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상대 높임의 등급 전환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편지글에 가장 많이 나타난 상대 높임이 등급 간 전환은 2등급 간 전환이었다. 한국어 학습자들은 ‘합쇼체-해요체’, ‘합쇼체-해체’, ‘합쇼체-해라체’, ‘해요체-해체’, ‘해요체-해라체’, ‘해라체-해체’ 간 전환 양상을 보였다. 여기서 ‘합쇼체-해라체’와 ‘해요체-해라체’는 허용될 수 없는 상대 높임의 등급 간 전환이다. 둘째, 상대 높임의 3등급 간 전환에서는 ‘해체-해요체-합쇼체’, ‘해라체-해요체-합쇼체’ 간의 전환 양상을 보였다. 여기서 ‘해라체-해요체-합쇼체’ 간 전환은 불가능한 전환 범위이다. 특별히 주목할 점은 ①한국어 학습자들이 해체를 스스로에게 던지는 혼잣말처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는 것이다. 이때 학습자들은 감탄이나 의문의 종결어미로 해체를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②한국어 학습자들은 자신의 감정이나 느낌을 능동적으로 표현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해라체나 해체를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고급 학습자들이 한국어 상대 높임의 등급을 선택하는 데 있어, 해체와 해라체를 능동적이고 의도적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점은 매우 긍정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해라체가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제약들을 분명하게 제시해주어 학습자들이 상대 높임의 등급을 전환 가능한 범위 내에서 사용하도록 지도해야 할 것이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논의
  2.1. 등급 전환 현상에 대한 논의
  2.2. 등급 전환의 범위에 대한 논의
  2.3. 상대 높임법과 사회적 요인에 대한 논의
 3. 연구 자료 및 분석 방법
  3.1. 연구 자료
  3.2. 분석 방법
 4. 분석 결과
  4.1. 2등급 간의 전환 양상
  4.2. 3등급 간 전환 양상
 5. 결론 및 제안
 참고 문헌
 <국문초록>

저자정보

  • 최주희 Choi, Ju-hee.. 서울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