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디지털 정책

클라우드 기반의 공공서비스 도입체계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Adopting Model for Cloud-based public service

송석현, 나종회, 김정엽, 이재용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loud services is recognized the essential IT infrastructure in the optimal smart society which is changing rapidly as a low-cost and high-efficiency. This service of starting from prominent overseas companies such as Google, Amazon, had influenced on the introduction of the service for the various policies of foreign government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Such countries adopt to the cloud computing and make transform to the cloud service of existing public service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information resources. In this study, we propose a model for adoption of appropriate cloud-based public services in Korea through analyzing the foreign government case of adoption of cloud services.

한국어

클라우드 서비스는 낮은 비용과 높은 효율성으로 빠르게 변화 최적의 스마트 사회에서 필수적인 IT 인프라 를 인식되고 있다. 구글, 아마존 등 해외 유수 기업에서 시작된 클라우드 서비스는 미국과 영국 등 외국 정부의 클라 우드 서비스의 도입에 다양한 정책적 영향을 미쳤다. 특히, 이들 국가들은 정보자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서 클라우 드 컴퓨팅의 도입과 아울러 기존 공공서비스의 클라우드 서비스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클라우 드 서비스 도입을 위한 외국 정부의 다양한 사례 분석을 토대로 국내 환경에 적합한 클라우드 기반 공공서비스의 도 입체계를 제안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기존 연구
  2.1 클라우드 기반 공공서비스
  2.2 클라우드 기반 공공서비스의 해외 주요동향
 3. 연구방법
 4. 클라우드 기반 공공서비스 도입체계
  4.1 클라우드 기반 공공서비스 도입체계 필요성
  4.2 클라우드 기반 공공서비스 도입체계
  4.3 클라우드 기반 공공 서비스유형 분류를 위한 큐브 모델
  4.4 큐브 모델에 기초한 서비스 유형별 범정부 가이드
 5. 결론 및 향후과제
 REFERENCES

저자정보

  • 송석현 Suck-Hyun Song. 한국정보화진흥원 정보자원기획부, 연세대학교 전기전자공학과
  • 김정엽 Jeong-Yeop Kim. 한국정보화진흥원 정보자원기획부
  • 나종회 Jong-Hei Ra. 광주대학교 물류유통경영학과
  • 이재용 Jaiyong Lee. 연세대학교 전기전자공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