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point out problems of already existing university's convergence education, through the current status of university's convergence education is analyzed based on advisable aspect of university's convergence education. And based on this analysis, a developing direction for the convergence education of university suggest.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is study, I look for desirable ways for development and use of convergence education through analyze to precedent studies. And I examine various cases of already existing university's convergence education. As follows is suggested on the conclusion. The first suggestion is that developing for convergence education should be based on clear right people and educational end, objects for your university focused on students' internal growth. Second is that the content of convergence education should be creatively and field and student-centrally formulated put center axis on topics and phenomenon, inquiry method between two and more studies, or realistic themes and projects related industrial structures. Finally, institutional and financial support from the universities should be extended to that constitute 'convergent program developing committee' and the impellent team, the team of consolidate the foundation, and change mind for both students and educators through workshop etc, and upgrade educational administration system into encourage to convergence education, and provide financial and technical help.
한국어
이 연구는 융합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규정한 후, 이를 기준으로 국내 대학 융합교육의 문제점을 명확히 밝히며 개선방안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하여 이론적 고찰과 함께 현재 국내 대학에서 시행되고 있는 융합교육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현재의 융합 교양교육과 융합 전공교육은 대부분 인재상과 교육목적 및 목표가 상세하게 설정되지 못하고 있다. 둘째, 교양교육의 융합교육은 몇 개 교과의 단편적인 개발에 그치고 있으며, 전공영역의 융합교육은 이미 융합에 성공한 전공을 개설하거나 유사 전공․학과간의 융합이 시도되고 있다. 편성방식도 주로 교과목 중심 그 중에서도 단순 병렬적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셋째, 대부분의 대학이 여러 교수가 몇 주씩 수업을 나누어 맡는 병렬적 팀티칭 방식을 활용하고 있고 교수와 학생간의 긴밀한 상호작용은 찾아보기 힘들다. 또한 교육평가를 위한 협의된 체계가 존재하지 않고 인적․재정적․물적 지원을 위한 학사운영체제가 확립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은 개선점을 제안하였다. 첫째, 융합교육이 학습자의 내면적 성장에 초점을 맞춘 명확한 목적과 목표를 설정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둘째, 두 개 이상의 학문의 공통의 주제나 현상, 탐구방법을 중심으로 또는 현장과 연계된 실제 문제나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승법적․현장중심적․학생중심적 편성을 해야 함을 지적하였다. 셋째, 융합교과개발위원회뿐 아니라 추진팀과 기반조성팀의 구성, 워크숍 및 자료의 제공을 통한 교수 및 학생들의 인식 전환, 제도적 측면에서뿐 아니라 융합교육 장려의 측면에서의 학사운영체제 정비, 재정적․기술적 측면에서의 지원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목차
I.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II. 연구의 내용과 방법
1. 연구의 내용과 분석틀
2. 연구의 방법
III. 융합교육의 목적ㆍ목표 설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 융합교육의 바람직한 교육목적ㆍ목표 설정
2. 기존 융합교육의 목적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개선방향
IV. 융합교육과정 편성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 융합교육과정 편성의 바람직한 방향
2. 기존 융합교육과정 편성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개선방향
V. 융합교육과정 운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 융합교육과정 운영의 바람직한 방향
2. 기존 융합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개선방안
VI.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