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국내 공동브랜드 운영현황과 활성화 전략

원문정보

Domestic co-branded operating status and activation strategies

김구성, 유승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eak competitive Small Business are getting attention for their ability to enhance the brand power and marketing co-brand. Under these circumstances, in this study examined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domestic co-branded. Also enable co-branding strategy was proposed. First, learn the various aspects of the concept of co-branding, and looked at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co-branding. Second, the type of co-branded partner combined, joint venture between companies Union type, a leading company driven and private companies and state agencies co-branded. Looked at the type of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ach. Thirdly, we presented the current status of the important co-branded domestic. Fourth, we examined the status of the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supports a co-branded Examined in detail by year look at the status of support for this type of co-branded Industry Distribution and co-branded interrupted. Finally, the short-term aspects and long-term perspective on the domestic co-brand activation strategy based on these materials are presen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the foundation of domestic co-branded business in the future to explore the ways to improve the system of government support will help to raise.

한국어

최근 경쟁력이 약한 중소기업들은 브랜드 파워와 마케팅 능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공동브랜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공동브랜드의 운영현황을 고찰하고 활성화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먼저, 공동브랜드 개념을 다양한 측면에서 알아보고, 공동브랜드의 장, 단점을 살펴보았다. 둘째, 공동브랜드의 유형별을 협동조합형, 기업간 연합형, 선도기업 주도형 및 민‧관 합작형 공동브랜드로 구분하여 각각의 장단점을 살펴보았다. 셋째, 국내 주요 공동브랜드의 현황을 제시하였다. 넷째, 중소기업청 지원 공동브랜드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연도별 지원현황을 살펴보고, 공동상표 업종별 분포 현황 및 공동브랜드 중단유형에 대해 세부적으로 살펴보았다. 끝으로 이러한 자료를 근거로 국내 공동브랜드 활성화 전략을 단기적 측면과 중장기적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국내 공동브랜드 사업의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토대가 될 것으로 정부의 지원제도를 마련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연구배경 및 목적
 2. 공동브랜드 개념 및 장ㆍ단점
  2.1 공동브랜드의 개념 및 유형
  2.2 공동브랜드의 장점
  2.3 공동브랜드의 단점
 3. 공동브랜드의 유형별 현황
 4. 국내 주요 공동브랜드 현황
  4.1 중소기업청 공동브랜드
  4.2 지방자치단체 공동브랜드
  4.3 조합 및 기타 유관기관 공동브랜드
 5. 중소기업청 공동브랜드 운영현황
  5.1 공동브랜드 지원현황
 6. 국내 공동브랜드 사업 활성화 전략
  6.1 단기적 개선전략
  6.2 중장기적 개선전략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구성 Kim, Koosung. 나사렛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재활복지경영학과 강사
  • 유승엽 Seung Yeob Yu. 남서울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