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점프수트 원형 개발에 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Jumpsuit Prototype

김현주, 김양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pattern prototype for a jumpsuit that is fitted to the body, which can be applied to diverse designs as ready-to-wear, and furthermore, can be used as the standard for jumpsuit patterns in the industry or at educational institutions. In this research, Seungyeol Lee's method for jumpsuit patterns was chosen. Three types of experimental clothes were made gradationally with ease for chest, waist hip and crotch length; A type has 2cm ease amount in the chest, waist and hip and 0cm in crotch length, B type has 4cm ease in the chest and hip, 3cm ease in the waist and 2cm ease in crotch length, and C type has 6cm ease in the chest and hip, 4cm ease in the waist and 4cm ease in crotch length. For evaluating appearance and functionality of each pattern type, a fit test was carried out. The experimental clothing was made with muslin. The subjects were set as 3 women between the ages of 20~24 with the standard body type, referring to the results of Size-Korea 2010. The average size was bust 82.9cm, waist 69.5cm, and hip 91.4cm. The research prototype was created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primary fit evaluation. The clothing for research was made with the fabric in the same quality as the material of the experimental clothes. The amount of ease for bust was 4cm, the waist was 3cm, and the hip was 4cm. The results found that 2cm more ease was needed in crotch depth for the jumpsuit. The appearance test and the functionality test on the research clothing were carried out in the same method as the primary fitness evaluation. As a result, the pattern of the research clothing was found to be suitable for the prototype pattern. Although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with one type of fabric condition and subjects, the method for pattern making of a jumpsuit was developed at once, without having to combine a bodice pattern and a slacks pattern.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기성복의 다양한 디자인에 응용이 가능한 최소한의 여유분을 가진 점프수트 원형 패턴을 개발하는 것이다. 점프수트 제도법은 이승렬 식으로 선정하였고 교재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단계적인 여유분을 설정하였다. 각 실험복의 여유분은 실험복 A는 가슴둘레 2cm, 허리둘레 2cm, 엉덩이 둘레 2cm, 샅 앞뒤둘레 0cm이고, 실험복 B는 가슴둘레 4cm, 허리둘레 3cm, 엉덩이둘레 4cm, 샅 앞뒤둘레 2cm이며, 실험복 C는 가슴둘레 6cm,허리둘레 4cm, 엉덩이 둘레 6cm, 샅 앞뒤둘레 4cm이다. 밑위길이는 허리선부터 밑위 선까지 연구대상의 평균치수(26cm)에 1cm를 더한 치수로 통일하였다. 20∼24세의 표준체형의 여성 3명을 피험자로 선정하여 외관 관능 평가와 부위별 동작 적응성 평가결과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 패턴의 여유분을 설정하였다. 연구 패턴의 여유분은 가슴둘레 4cm, 허리둘레 3cm, 엉덩이둘레 4cm이며, 밑위길이는 실험복에 적용한 치수보다 1cm의 여유를 더 주어 평균치수(26cm)에 2cm를 더하여 설정하였다. 샅 앞뒤둘레는 동작 적응성이 적당한 실험복 C의 여유분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는데, 이는 밑위길이 연장과 뒤 허리 군주름을 개선하기 위한 뒤 허리분 1cm연장으로 충분한 여유분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기준선은 토르소 기준이 아닌, 슬랙스를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이렇게 설정된 여유분이 적용된 패턴으로 제작한 연구복으로 1차와 같은 착의 평가를 진행하다. 외관관능평가에서는 실험복과 비교하여 우수한 평가를 받았으며, 부위별 동작 적응성 평가에서도 모두 ‘보통’이상의 평가를 받아 개발된 연구 원형이 점프수트 원형 패턴으로써 적합함을 증명하였다. 비록, 제한된 소재와 연구 대상으로 다양하게 적용되는데 한계는 있으나, 기존의 상의 패턴과 하의 패턴을 제도하여 다시 합치는 방식이 아닌, 한 번에 제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할 수 있었다.

목차

요약
 I. 서론
 Ⅱ. 연구 방법
  1. 피험자 선정
  2. 실험복 제작
  3. 착의 평가 및 결과 분석
  4. 연구 패턴 개발 및 연구복 제작, 평가
 Ⅲ. 연구 결과
  1. 착의 평가 결과
  3. 연구 원형 패턴 제도
  4. 연구복 착의 평가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현주 Kim, Hyun Joo. 인하대학교 의류학과 박사과정
  • 김양희 Kim, Yang Hee. 인하대학교 의류디자인학전공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