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학교 사회과 수행 평가 실행의 교사의 실제적 지식에 관한 사례 연구

원문정보

A Case Study ion The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in Relation to Execu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in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Education

김왕근, 은지용, 박인옥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raw data for performance assessment policy. For this purpose, we adapted two methods. One is content analysis about performance assessment policy, the other is in-depth interview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 about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in relation to execu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relation to performance assessment policy, there are practical irrelevance, logical irrelevance in content that prescribed paper assessment based on taxonomy, problem relation with criteria of performance assessment. Rega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formance assessment policy and teachers' knowledge on the performance assessment practice, teachers seemed to have the difficulties in dealing with situations with complicated practical problems. It has made these teachers focus more on practical problems rather than the purpose of performance assessment. It has resulted from the existing conditions in their schools, compulsory nature of performance assessment, and the rule requiring unreasonable objectivity. Then, the performance assessment policy would not be accompanied with teachers' voluntary participation and result in superficial, restricted, short-term practice. This study suggests that internal validity needs to be fulfilled in establishing the performance assessment policy. Secondly, practicality must take precedence in the performance assessment policy. Finally, institutional support must be achieved to improve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autonomy.

한국어

본 연구는 현행 수행 평가 정책의 문제점에 대한 내용 분석과 수행 평가의 실행에 관한 사례 교사들의 실제적 지식에 대한 해석을 통해 현실 적합성을 충족하는 정책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먼저, 수행 평가 정책 내용에 대한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수행평가 정책의 현실 적합성 결여 문제, 수행평가 정책 내용의 정합성 결여 문제, 수행 평가 기준 문제 등이 지적될 수 있다. 수행평가 실행과 관련된 사례 교사들의 실제적 지식과 수행평가 정책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정책 수준에서의 처방이 기술적인 지식에 의존하고 있는 반면, 수행평가가 교실 현장에 적용되는 과정에서 교사는 수행평가 실행과 관련된 실제적인 문제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상황에 대응해야 하는 어려움에 직면한다. 이로 인해 교사는 정책 수준에서 추구되는 수행 평가의 취지보다는 이러한 복합적인 문제에 대응하는 것에 일차적 관심을 갖게 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현상은 수행평가를 실행하는데 제약으로 작용하는 학교의 환경적 여건과 수행평가의 강제적 성격, 지나칠 정도로 객관성과 공정성을 강요하는 지침 등에서 비롯된 것이며, 이로 인해 교사들은 업무를 가중시키는 시책으로서 인식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제언을 하면, 첫째, 현행 수행평가 정책은 평가 정책 자체에 들어 있는 내적인 정합성을 결여하고 있기 때문에 평가 자체의 내적 정합성을 충족하는 평가 정책의 수립이 필요하다. 둘째, 현행 수행평가 정책은 교사의 실제적 지식과 유리되고 있기 때문에 보다 현실 적합성을 확보하는 정책 수립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셋째, 정책의 실행에 앞서 교사의 전문성과 자율성을 뒷받침하는 조처로서 교사의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한 제도적 뒷받침도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목차

I. 서론
  1. 문제 제기
  2. 연구 방법 및 대상 
 II. 사회과와 수행평가 정책
  1. 사회과와 수행평가의 관계
  2. 수행 평가 정책의 내용 분석
 III. 사회과 수행평가 실행에 관한 교사의 실제적 지식
  1. 수행평가에 관한 교사의 인식
  2. 수행평가 실행에 관한 교사의 실제적 지식
 IV. 논의 및 시사점
  1. 수행평가 실행에서 교사의 실제적 지식
  2. 수행평가 정책의 실행의 관계
  3. 사회과 수행평가 정책 개선에 주는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왕근 춘천교육대학교 교수
  • 은지용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전문연구원
  • 박인옥 성신여자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