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수업 통제 방식을 통해 본 교사 문화

원문정보

Some Aspects of Teaching Culture Formation Reflected in Classroom Management

류방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research has been intended to analyze the formation process of teaching culture at the level of middle school. As is well-known, a reformation drive doesn't guarantee any success unless it is performed with a full understanding of teaching culture. Unlike the previous studies on teaching culture, this study tried to get a micro level approach to its formation process through a close observation of teaching activities. For an in-depth, concrete understanding of teaching activities, about 7-week-long observations have been conducted at a middle school in Seoul.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prevent data collection from being confined only to the teachers of Seoul area, structured interviews have been given to the 10 teachers from other areas. Based upon the data thus collected, teachers' daily teaching activities have been analyzed in detail, with a special focus on what kind of problems the teachers encounter in their activities. The results are like the following. In general, teachers had difficulties in getting students under control in class. For a more effective way of control, they provided a trouble maker with penalty marks for what he/she did; on the other hand, they also tried to get along well with all the students in class. Interestingly enough, some teachers tried various new ways of teaching. In doing this, however, they met with some trials and errors. This, in many cases, brought forth complaints from students and their parents, and a lack of understanding and support by administrators, so that some of the teachers tended to go back to the traditional ways of teaching, discarding their new trial. Based on the results mentioned so far, this paper finally suggested the needs for the workshop-based teacher training system and supporting system from inside and outside of schools.

한국어

학교 개혁을 요구하는 많은 정책들이 교사들의 문화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에 기초하여 추진되어 왔다고 보기 어렵다. 교사 문화에 대한 이해가 결여된 채 개혁이 추진될 경우 성과를 거두기 어렵다. 선행의 교사 문화 연구가 다소 일반적이고 개괄적인 수준에서 분석했던 것과는 달리 이 글에서는 수업 진행 과정에서 형성되는 교사 문화를 미시적으로 접근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들은 개별적 요구가 강한 학생들에게 주어진 교육과정을 가르쳐야 하는 상황 속에서 학생들과 의미 있는 만남을 위하여 나름의 시도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자신들의 시도가 전문적인지에 대하여서는 회의를 가지고 있었다. 특히 교실 수업 방식의 개선의 시도에 관하여서는 눈여겨 볼만하다. 종래의 방식으로 학생들과 교감이 어려워 새로운 방식을 시도해보지만 준비부족, 경험 부족으로 시행착오를 겪게 되고, 시행착오 과정에서 학생과 학부모의 불만, 그리고 상급자들의 안목 결여와 지원 부족에 직면하며 과거의 방식으로 환원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교사들이 실제 수업 연구과 협의, 토론할 수 있는 방식의 밀도 있는 교사 연수 제공과 같은 학교 내외의 지원 체제 구축 등을 제언하였다.

목차

I. 연구 문제와 방법
  1. 연구 문제
  2. 연구 방법
  3. 연구의 한계
 II. 교사 문화 연구의 특징과 한계
 III. 수업의 맥락
 IV. 수업 통제 방식
  1. 점수에 의한 통제
  2. 재미있는 이야기 : 학생 문화에 공조
  3. 정서적 친밀감 표현
  4. 새로운 수업 방식의 시도
 V. 논의 : 수업 과정 속에서 형성되는 문화의 특징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류방란 한국교육개발원 부연구위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