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언어 네트워크 분석법을 활용한 초등학교 및 중학교 과학영재들의 ‘과학적’의 의미에 대한 인식 비교

원문정보

The Comparison of Science Gifted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Scientificness’

이준기, 하민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t is crucial to establish a proper viewpoint on science in modern information society. In particular, science gifted students who will contribute to scientific research area should possess a proper viewpoint on science. However, few studies concerning the structure of science gifted students’ understanding and formation of viewpoint on science have been done. In this present study, we explore the structure of bot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cience gifted students’ understanding of ‘scientificness’ and compare them. One-hundred-seventy-fou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cience gifted students who were selected by science gifted student center at national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collected students’ written responses regarding ‘scientificness.’ We analyzed them by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 and found three semantic networks. The results illustrate that elementary school gifted students consider the use of jargons such as scientific terms from their everyday life more importantly while middle school science gifted students consider the use of jargons from their knowledge on subject matter. In addition, the common factors of two groups are factual evidence, verifiability, and accurate and logical theoretical framework.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used in this study will be useful to detect the structure of science gifted students’ understanding and to construct integrated mental model.

한국어

현대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올바른 과학관의 정립은 중요한 과학교육 목표 중 하나로 인식되어 져 왔다. 특히 장차 과학 현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되는 과학영재들에게 있어 바른 과학관 의 정립은 꼭 필요한 요소 중 하나일 것이다. 하지만 과학영재들의 과학관의 구조나 과학관의 형성 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필요성에 근거하여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과학영재의 ‘과학적’의 의미에 대한 이해를 조사하였다. 특히 이 연구는 방법론적으로 학생 들의 서술형 응답을 언어 네트워크분석법을 통해 조사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총 174명의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소속 초등학교 및 중학교 과학영재들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 대상들은 ‘과학적’ 의 의미에 대한 질문에 서술형으로 응답하였고 학생들의 응답을 통하여 3가지의 언어 네트워크를 구 성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과학영재들은 실생활을 통한 경험을 바탕으로 과학용어와 같은 전 문용어 사용여부를, 중학교 과학영재들은 개별 과목의 공부 내용을 통한 전문지식 등장여부를 중요 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두 집단 모두에서 공유되고 있는 인식은 사실근거, 증명 가능 여부, 정확 하고 논리적인 이론체계 동반을 가장 중요한 틀로 하고 있었다. 또한 이 연구는 언어 네트워크 분석 법이 영재들의 인식구조나 통합적 정신모형을 구축하는데 유용한 연구 방법임을 보여주고 있다.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참여자
  2. 자료수집 및 전처리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1. 초등학교 과학영재들의 ‘과학적’의 의미에 관한 언어 네트워크
  2. 중학교 과학영재들의 ‘과학적’의 의미에 관한 언어 네트워크
  3. 초등학교와 중학교 과학영재들의 ‘과학적’의 의미에 관한 통합 언어 네트워크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준기 Lee, Jun-Ki. 전북대학교
  • 하민수 Ha, Minsu. 오하이오주립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