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 양명학의 태두 하곡 정제두의 효사상 연구

원문정보

Family Ethics of Hagok, Jung Je-Doo

김덕균

한국효학회 효학연구 제16호 2012.12 pp.1-25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 studied the human relations based on the philosophy of Jung Je-Doo. Jung was a key person in the Kang-Wha Hak as well as the originator of the Korean Yang-Ming doctrines. There are basically 5 relations in Asian philosophy, which is called “moral rules to govern the Five Human Relations.” Among these relations, I first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n the present study. The key factor to define this relationship is filial piety and love(慈孝). In the doctrines of Wang Yang-ming, filial piety and love is a good practical example in terms of the view of the agreement of knowledge and practice (知行合一) since filial piety and love is meaningless without a practice. Second, I also looked at the background ethics of the human relations in Jung’s philosophy. Jung’s philosophical views clearly showed that he cared for other people. Jung grew in a poor family, and he thought the consideration of others was the principle attitude in human relations. This principle attitude was expressed as sincerity and truthfulness. The consideration of others is a process of self-examination and self-conquest. It is also a practical activity to achieve the goal as a philosopher. The consideration of others is also partly based on truthfulness and practice in of Practical Science. Jung’s philosophy was toward the sincere Practical Science including true patriotism, filial piety, Chee-Ji (致知), Kyok-Mool (格物). Finally, I looked at the Jung’s educational philosophy. If we looked at his educational philosophy based on the current ones, we would find more negative aspects than positive aspects. For example, his philosophy reflected the . His philosophy strongly agreed with the and , and it was the limitation of his philosophy.

한국어

한국 양명학하면 강화학파를 떠올리고, 그 중심엔 하곡 정제두가 있다. 하곡은 서인의 명문집안 출신이지만 소론계열이어서 정치적 불운을 겪는다. 처음 주자학을 접하지만 만족하지 못하고 젊은 시절 양명학을 공부한다. 정치적 불운이 이단시 되던 양명학을 접한 동기다. 하지만 이 논문에서는 정치적 사유나 철학적 토론보다는 부자(父子)사이의 친애, 군신(君臣)사이의 의리, 부부(夫婦)사이의 분별, 장유(長幼)사이의 질서, 붕우(朋友)사이의 믿음을 다룬 오륜가운데서도 특히 부모자녀관계 만을 집중해서 보려고 한다. 부모자녀관계를 규정하는 것은 자효(慈孝)이고 그것은 다시 애경(愛敬)이다. 하곡 정제두 사상에 보이는 자효사상, 곧 애경사상은 그의 철학사상의 기초였던 양명학적 사유와 무관하지 않다. 특히 지행합일의 관점에서 실천을 강조하고 있다. 실천 없는 자효는 무의미하다는 판단 때문이다. 또한 여기서 대인관계에서의 배려윤리를 탐색한다. 남을 배려하는 정신을 하곡 정제두의 사상 속에서 찾아본다. 어려운 환경에서 생활한 하곡 정제두의 추기급인(推己及人)의 배려정신은 올바른 대인관계의 필수임을 보여준다. 이런 하곡의 대인윤리의 기본은 배려정신 및 성실과 진실성으로 표현된다. 물론 이것은 도덕과 삶의 주체로서의 인간의 자기성찰과자기극복의 한 과정이고 이를 통해 자아를 실현하려는 사상가로서의 진정한 삶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실천적 행위이다. 또 그것은 실학의 진실성과 실천성을 염두한 것이다. 진실한 충성[實忠], 진실한 효도[實孝], 진실한 치지[實致], 진실한 격물(格物) 등등 꾸밈없는 실심(實心) 실학이 하곡이 지향한 학문이다. 끝으로 하곡의 자녀교육관을 살펴본다. 하곡의 자녀교육관은 현대적 관점에서 긍정적 요소보다 부정적 요소가 더 많다. 신분사회의 차별상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남녀차별과 신분 차별적 요소는 그 어떤 사상가보다 더 보수적이고 완고하다. 이것이 하곡 사상의 한계임을 지적한다.

목차

<요약>
 1. 들어가는 말
 2. 가난한 삶과 실천적 학문관
  (1)욕구에 대한 경계
  (2)지행합일의 효사상
 3. 가족윤리와 대인관계
  (1)배려정신
  (2)성실과 친절의 대인관계
 4. 신분차별적 대인관계론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덕균 Kim Duk-Kyun. 성산효대학원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