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 지방공무원의 적정인력 규모 산정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Estimating Appropriate Personnel Scale of Sejong Special Self-governing City Office of Education

조옥경, 황준성, 고전, 김성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ejong special self-governing city office of education was newly established on July 2012. It has different functional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from the offices of the other cities and provinces. For example, it has no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and has to fulfil the function of leading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in Korea.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thod for estimating appropriate personnel scale of local public servants of sejong special self-governing city office of education which is considered and reflected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office of education. Drawn equation for estimating appropriate personnel scale of local public servants of sejong special self-governing city office of education from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the standard number of local public servants per head by factors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was calculate on the basis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which was relatively most similar in local scale. The factors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were used the number of students, the number of teachers, the number of classes and the number of schools to be generally utilized in previous studies. Second, 5 percent personnel for additional work were added because sejong special self-governing city office of education are asked special roles. In summary, the last equation is as follows: [Standard personnel of local public servants of sejong special self-governing city office of education={(the number of students × 0.013 + the number of schools × 6.176 + the number of classes × 0.386 + the number of teachers × 0.230) × 1/4} × 1.05]

한국어

2012년 7월에 새롭게 출범한 세종특별자치시(이하 ‘세종시’)교육청은 지역교육청을 두지 않는 단층의 지방교육행정체제로서 스마트 교육 등 한국 교육의 발전을 선도하는 기능을 요구 받는 등 타 시·도와는 차별화되는 기능 및 구조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 연구는 세종시의 공식적 출범 이전에 수행한 것으로 세종시교육청의 독특한 특성을 검토·반영하고 정책수용성을 고려하여 적정한 세종시교육청의 지방공무원 인력 규모를 산정하는 방안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 연구는 먼저 새롭게 문을 여는 교육청이면서 규모가 타 시·도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매우 작은 세종시교육청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일반적인 회귀분석에 의한 적정인력 산정이 어려움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규모가 가장 유사한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을 토대로 선행연구들에서 보편적으로 활용된 교육행정요인(학생수, 교원수, 학급수, 학교수)별로 1인당 표준정원을 산출하여 활용하는 산식을 기초로 하고, 거기에 세종시교육청 기능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부가적인 업무들을 위한 인력 5%를 추가하는 방식을 적용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도출된 산식은 [세종시교육청 지방공무원 표준정원={(학생수×0.013+학교수×6.176+학급수×0.386+교원수×0.230)×1/4}×1.05]이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세종시교육청의 특성
  1. 세종시 및 세종시교육청의 법적 성격
  2. 지역 및 교육 현황
  3. 세종시교육청의 기능 특성
 III. 세종시교육청 적정인력 규모의 산출 방안
  1. 관련 규정 분석
  2. 선행연구에서의 적정 인력규모 산정 방식 분석 및 시사점
  3. 세종시교육청의 적정 인력규모 산정
 I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조옥경 Ok-Kyung Cho. 한국교육개발원
  • 황준성 Jun-Seong Hwang. 한국교육개발원
  • 고전 Jeon Ko. 제주대학교
  • 김성기 Sung-Ki Kim. 협성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