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論文

葦滄 吳世昌의 題跋의 時宜性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imeliness of Wichang, Oh, Se-chang‘s Jebal

위창 오세창의 제발의 시의성 연구

이승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treatise is the study on Jebal(題跋) which was remained by Wichang, Oh, Se-chang (葦滄 吳世昌) called as the father of Korean art history. In the wide meaning, Jebal is the description of impression about the calligraphy works or pictures on the front or rear of calligraphy works, album of rubbing, and pictures, etc. In our country, Jebal started with ˂Mongyudowondo(夢遊桃園圖)˃ by Prince Anpyeong in the early Chosun. And since Chusa(秋史) had left 38 pieces of Jebal, Wichang left more than 170 pieces. Jebal of Wichang remained on the calligraphy works and the pictures , on the album of paintings and writings and on the rubbing of metal or stone. He remained the footprints of calligraphy, its material, its age, the characteristics of calligraphy style and the style, etc, in many calligraphy works. In the result, we can see his positive view of art which was his spirit of school, as it was, through Jebal on the relics or rubbing we can actually ascertain. Especially in the domestic works calligraphy works of Chusa's school were major, and for the pictures there were remained the large number of Jebal in the works of the later Chosun and the modern age. In Jebal that Wichang had left on the pictures, he expressed the circumstance of that time and his feeling. He revealed the pain of the times in ˂Sehando(歲寒圖)˃ by Kim Jeong-hee(金正喜) and ˂Nogeunmukrando(露根墨蘭圖)˃ by Min Yeong-ik (閔泳翊) and also he disclosed his anguish of social position in the intermediary class on the pictures by Shin Yun-bok(申潤福), Kim Hong-do(金弘道), Kim Deuk-sin(金得臣). Moreover, through historical investigation he wrote the evaluation and review for the calligraphy albums by Chusa(秋史), Ongbangang(翁方綱), Jeongi(田琦), Kwondonin(權敦仁) and others. He fully showed his own learning and thought in them. In addition, he introduced the form of Ssanggu(雙鉤) and doubled the value of works on Jebal of the famous 84 pieces of rubbing in Korea and China. I think the inclination came from his circumstances he was confronted with like as the times, the social position and the learning. His view of art originated in the spirit of Chusa's school and methodology of historical research as well.

한국어

본 논문은 한국미술사의 아버지로 불리우는 葦滄 吳世昌이 남긴 題跋에 관한 연구이다. 제발이란 크게는 글씨나 그림에 대한감상을 서화작품이나 비첩 등의 앞과 뒤에 기록한 문장을 말하는 것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조선 초기 安平大君의 <夢遊桃園圖>의 발문에서 시작되어 이어지다가 秋史 金正喜가 38편의 제발을 남긴 이후 위창이 170여 편의 제발을 남겼다. 위창의 제발문은 서화작품과 서화첩, 금석탁본 등의 작품에 쓰여졌으며, 특히 제발이 가장 많은 서예작품 중에는 실제로 확인할 수 있는 유물이나 탁본을 통해 書蹟의 소재, 시대, 서체의 특징, 풍격 등을 기록하고 있어서 그의 학맥인 실학적 예술관을 그대로 드러내고 있다. 특히 국내작품으로는 추사학맥의 서예작품이 주가되었으며, 회화작품은 주로 조선후기와 근대 작품에 남긴 제발이 많다. 그러나 위창은 회화작품에 남긴 제발에서도 당시 상황과 심정을 대변할 수 있는 작품인 추사의 <歲寒圖>를 비롯하여, 민영익의 <露根墨蘭圖>에서 당시의 시대적 아픔을, 申潤福ㆍ金弘道ㆍ金得臣의 그림에서는 같은 中人으로서의 신분적 공감을 하였고, 추사와 翁方綱ㆍ田琦ㆍ權敦仁 등의 서첩 등에서는 자신의 학문과 사상을 유감없이 드러내어 고증에 의한 평가와 서평을 적고 있다. 이외에도 한국과 중국의 대표적인 비문의 금석탁본 84편의 제발에서는 雙鉤 형식을 도입하여 작품성을 倍加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위창의 시대적ㆍ신분적ㆍ학문적 時宜性에 의한것으로 추사 학맥과 고증학의 학맥을 따라 표출되는 그의 예술관에서 기인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목차

<논문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書畵作品 題跋의 時宜性 고찰
  1. 書藝作品에 대한 서예사적 시의성
  2. 繪畵作品의 감식을 통한 민족적 시의성
  3. 書畵帖에 대한 고증학적 시의성
 Ⅲ. 金石拓本 題跋의 학문적 시의성
 Ⅳ. 나오는 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승연 Lee, Seung-yeon. 원광대학교 서예문화연구소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