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영화이론ㆍ분석

신자유주의 문화 논리와 여성의 정체성 - <미녀는 괴로워>, <써니>, <댄싱 퀸>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Neo-liberalist Culture and Women Subject -Focusing on 200 Pound Beauty, Sunny, and Dancing Queen-

권은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Korean society has been changed rapidly under the shower of Neo-liberalism last two decades, and the important changes were occurred in our sensitivity. The transition into age of Neo-liberalism has constructed new cultural forms and identities in Korea. Corresponding with neo-liberalist “self-help” discoureses, three Korean romantic comedy films recently released -200 Pound Beauty(2006), Sunny(2011), and Dancing Queen(2012)- explore the various ways that women subjects related to themselves. In these films, women characters try to care and run their lives with “CEO of Me Inc.”, and turn their dream of becoming their own “true” or “idealized” self. These films also have significant relation with Korean TV shows, so called “Yeneung”, as a dominant cultural form. And some cinematic devices such as flashback and generic conventions of romantic comedy help those “self-improvement narrative” for women to be represented effectively. But those new types of women helping themselves could be appeared if they expel ‘the public’ and 'the social' at public space. The dramatic emergence of those women erased the historical and political contexts in some interesting ways. Otherwise, the pursue of personal “liberty” was translated self-fulfillment or self-realization disconnected with the social. They didn't concern over social contradictions surrounding their own problems. Individualism and the imagery of liberty make the effects that eclipse the contradictions occurred from transition into neo-liberalist world.

한국어

지난 20여 년간 한국사회는 신자유주의로의 이행을 가속화하였으며, 신자유주의로의 이행은 감수성의 영역에서도 심대한 변화를 가져왔다. 신자유주의는 문화의 장에서 새로운 감수성을 만들어 내고, 또한 새로운 정체성들을 구성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고 있다. 최근 발표된 여성을 주인공으로 한 세 편의 로맨틱 코미디 영화 ―<미녀는 괴로워>, <써니> 그리고 <댄싱 퀸>―는 신자유주의 시대에 활성화되는 자기 계발 담론과 서사적으로 조응하면서, 여성 주체가 자기와 맺는 관계를 다양한 방식으로 탐사하고 있다. 이 영화들에서 여성은 기업가적 정신을 가지고 자기의 삶을 적극적으로 관리하고 경영하여 ‘진정한 자아’ 혹은 ‘이상화된 자아’를 실현하는 주체들로 등장한다. 이 영화들은 동시대의 지배적인 대중문화형식인 버라이어티와 유의미한 상호 교호적 관계를 맺고 있으며, 플래쉬백과 로맨틱 코미디 장르의 컨벤션은 그러한 자기 계발 서사의 재현을 효과적으로 돕고 있다. 하지만 자기를 돌보는 그러한 새로운 여성 주체의 출현은 공공 영역과 사회적인 것의 축소, 그리고 정치적인 것과 역사적인 것의 배경화를 전제로 해서 시작된다. 한편 신자유주의적 대중문화 형식에서 ‘개인의 자유’에 대한 추구는 체제의 모순에서 해결책을 구하지 않고 사회에서 눈을 돌린 개인들의 자아실현으로 번역된다. 개인주의와 자유라는 가상은 착취적 축적으로의 이행에서 발생하는 모순들을 가리는 효과를 만들어 낸다. <써니>와 <댄싱 퀸>의 여성 주인공들은 몇몇 페미니즘의 이상향을 구현하기도 하나. 신자유주의적 문화 구성체 내에서 ‘이상화된 새로운 자아’의 등장은 보여지는 모습과 보여지기를 원하는 모습 사이에서 그 간극을 끊임없이 파악하고 관리하고 조정해야 하는 과업을 여성들에게 강제한다.

목차

1. 서론;신자유주의의 문화논리
 2. 자기 계발하는 여성 주체-<미녀는 괴로워><써니><댄싱 퀸>
 3. 결론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저자정보

  • 권은선 Kwon, Eunsun. 중부대학교 연극영화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