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유추 조건에 따른 수학적 문제 해결 효과

원문정보

The Effects of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depending on Analogical Conditions

반은섭, 신재홍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necessity of analogical thinking and to empirically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nalogical reasoning through the visual representation by analyzing the factors of problem solving depending on analogical conditions. Four conditions (a visual representation mapping condition, a conceptual mapping condition, a retrieval hint condition and no hint condition) were set up for the above purpose and 80 twelfth-grade students from C high-School in Cheong-Ju, Chung-Buk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as subjects. They solved the same mathematical problem about sequence of complex numbers in their differed process requirements for analogical transfer. The problem solving rates for each condition were analyzed by Chi-square analysis  using SPSS 12.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retrieval of base knowledge is restricted when participants do not use analogy intentionally in problem solving and the mapping of the base and target concepts through the visual representation would be closely related to successful analogical transfer.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offer, analogical thinking is necessary while solving mathematical problems and it supports empirically the conclusion that recognition of the relational similarity between base and target concepts by the aid of visual representation is closely associated with successful problem solving.

한국어

본 연구는 유추 조건에 따른 수학적 문제 해결 양상을 분석하여 유추적 사고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시각적 표상을 통한 유추의 효과를 경험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러 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충청북도 청주시에 소재한 일반계 고등학교인 C고등학교 3학년 학생 80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이들은 유추 상황에 따라 설정된 표상 대응 조건, 개념 대응 조건, 탐색 조건과 비 유추조건인 단순조건에 각각 20명씩 배정되었으며, 1차 실 험과 2차 실험에서 각 조건에 따라 서로 다른 학습 자극을 받은 후에 복소수 수열과 관련된 동일한 문제를 풀었다. SPSS 12.0을 이용한 X2 분석을 토대로 유추 조건에 따른 문제 해결 률을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 수학적 문제 해결 과정에서 유추적 사고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 우에 이미 알고 있는 바탕 지식의 사용이 제한될 수 있으며, 시각적 표상을 통하여 바탕 개 념과 표적 개념을 대응시켜 보는 것이 유추 전이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와 같은 결과는 문제 해결 과정에서 유추적 사고의 필요성을 함의하고 있으며, 시각적 표상 을 통하여 바탕 개념과 표적 개념의 관계적 유사성을 인식하는 것이 수학적 문제 해결과 밀 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주장을 지지하는 경험적인 근거가 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유추를 통한 문제 해결
  2. 시각적 표상과 수학적 문제 해결
 Ⅲ. 연구 가설
 Ⅳ. 연구 방법 및 절차
  1. 연구 대상
  2. 검사 도구
  3. 연구 설계
  4. 연구 절차
  5. 자료의 수집 및 분석
 Ⅴ. 연구 결과
  1. 연구 가설 1의 검증
  2. 연구 가설2의 검증
 Ⅵ.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저자정보

  • 반은섭 Ban, Eun Seob.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신재홍 Shin, Jaehong. 한국교원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