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초등 사회과 교사 정체성 형성 과정 연구

원문정보

The Study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Teacher Identity Formation Process

정혜정, 남상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dentity formation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a social studies teacher by recognizing that to grow as a social studies teacher is the process to create the identity of a social studies teacher. Formation process of social studies teacher? identity is to be represented through the panorama which is the execution of social studies class with the background of life. This means the identity of social studies teacher is formed through the interaction of opposing binominal elements which are personal self versus professional self and internal self versus society. Additionally, to become a social studies teacher in the context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was an inversion phenomenon of the category, which means elementary education was included in the categories of social studies education and was influenced by the teacher? psychological relationship, not by logical relationship. Especially the identity of social studies teacher had a deep relationship with the teachers’ emotions as the existence experiences of teachers’ independent composition and the questions about the existence, which were not given things and recognition of roles. Considering the above study results, to become a social studies teacher could be understood as the process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social studies teacher along with the knowledge and belief which are related with social studies education. And therefore, in order to become a social studies teacher, the experiences to find the meaning of life through social studies class are required with the process of continuously looking back themselves and asking who they are and what they are going for.

한국어

본 연구는 초등 사회과 교사로 성장하는 것은 초등 사회과 교사로서 정체성을 형성해 나가는 과정이라고 보고 사회과 교사의 정체성 형성 과정과 그 특징을 이해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사회과 교사 정체성 형성 과정은 삶을 배경으로 하여 사회과 수업 실천이라는 전경을 통해서 표상되는 것이었다. 이는 사회과 교사 정체성은 개인적 자아와 전문적 자아, 내적 자아와 사회라는 이항대립적인 요소들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형성됨을 의미한다. 또한 초등교사의 맥락에서 사회과 교사가 된다는 것은 사회과 교육 안에 초등 교육이 포함되는 범주 역전의 현상이었으며 이것은 논리적 관계가 아닌 교사의 심리적 관계에 영향을 받은 것이었다. 특히, 사회과 교사 정체성은 주어진 것과 아는 것, 역할 인식이 아닌 교사가 주체적으로 구성하는 것이자 존재 물음에 대한 실존 경험으로서 교사 정서와 깊은 관련성을 가지고 있었다. 연구의 결과, 사회과 교사가 된다는 것은 사회과 교육과 관련된 지식과 신념을 가지는 것과 더불어 사회과 교사로서 정체성을 확고히 하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따라서 초등 사회과 교사가 되는 것은 끊임없이 자신을 되돌아보고, 자신이 누구인지, 무엇을 향해 가는지 되묻는 과정이며, 사회과 수업을 통해서 존재의 의미를 찾는 경험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I. 서론
 II. 교사 정체성의 개념과 형성과정
  1. 정체성의 개념
  2. 사회과 교사 정체성 형성 과정
 III. 연구방법 및 연구대상
  1. 연구방법
  2. 자료 수집
  3. 연구대상자
 IV. 사회과 교사의 삶과 수업 이야기
  1. 삶 이야기
  2. 수업 이야기
  3. 정체성 이야기
 V. 교사의 삶과 수업을 통해 본 사회과 교사 정체성 형성 과정
  1. 전경으로서의 사회과 수업, 배경으로서의 삶
  2. 초등교육과 사회과 교육 사이 공간에서
  3. 사회과 교사라는 역할 인식이 아닌 사회과 교사가되기 위한 존재 이해의 과정
 VI. 결론 및 제언
 주
 참고문헌

저자정보

  • 정혜정 Jung, Hye-Jung. 대구대남초등학교
  • 남상준 Nam, Sang-Joon. 한국교원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