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이광수 후기 단편소설 인물들의 퇴행 연구

원문정보

A Research on the Regress of Characters in Short Stories in the Late Period of Gwangsu Lee

강윤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Freud defined uncanny as the 'alienation of familiar things'. The origin of the word uncanny is unheimlich, which is a German word. This came from the word heimlich, which means 'comfortable as one's hometown'.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alienation of familiar things' within uncanny means including the 'familiar things' in this word heimlich(comfortable as one's hometown)'. Then, the rest 'alienation' should be found from un. Un is the concept that something familiar is suddenly unfamiliar one day. This un in German is 'un' by the pronunciation of English. Thus, the alienation of familiar things becomes uncanny. Uncanny is the place which was one's hometown once, and the place where everyone lived in the beginning. Hence, an uncanny place is the door through which one can go back to the hometown of every human being, and when someone thinks in a place where he or she has never been before that "This place is familiar. I have been here before.", that place can be said to mean the sexual organs of his or her mother. The uncanny related to dreams also started from something which was once one's hometown and something that was as comfortable and familiar as one's hometown. However, the prefix 'un' is the symbol of suppression. The uncanny of Freud means some place that was once familiar and became an unfamiliar place one day. That is due to the suppression. The place was once a familiar place but it became unfamiliar due to suppression. When someone feels like a place he or she has been for the first time is a familiar place, it is the phenomenon in which the 'un' disappears. It is the phenomenon of returning back to the original familiar state at a moment. However, the subject that has been once suppressed is uneasy. Even though the subject goes back, the subject cannot return to its appearance in the past, because some vague phenomena that are difficult for the subject to understand occur. That is, the phenomenon in which the sign deprives the referent of its status or the phenomenon in which the subject deprives the physical real existence of its position when the subject is in the state of self-denial appears. When these things happen, the subject falls into the surrealistic state. Dali experienced surreality when the referent is covered by the symbol or when the subject becomes a slave of sign or symptom. Like this, the experiences of surreality are a phenomenon that appears as the result of uncanny, that is, uneasiness. These characteristics of alienation are prominent in the main character of 'Road Play', a novel of Gwangsu Lee. The main character of 'Road Play', which is a late short story in the late period of Gwangsu Lee, often falls into the uncanny state of surrealists. This can be seen as a phenomenon in which the 'alienation of familiar things' of Freud appears. In addition, all the main characters of 'Ignorance', 'The Old Lady in Youngdang' and 'Nanjeoh', which are novels of Gwangsu Lee, are into narcissism. They can be called the imaginary characters as they are the type of people for whom it is hard to enter the symbolic of Lacan. The world these types of people can fall into easily is the world of illusion, and this characteristic is moving into the romantic utopia of the main character in the novel 'Girl in Sanggeunnyeong'. In addition, the degradation in the form of novel is executed in 'Corn' and 'Story of Mrs. Kim'.

한국어

작가가 탄생시킨 소설인물들은 작가의 무의식의 소산이므로 결코 간과 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기서 밝히고 넘어갈 것은 작중인물은 허구이며 결코 작가 이광수일 수 없다는 점이다. 무의식은 의식이 누르고 있으나 어느 순간 자신도 모르게 의식화 되어 그 모습이 표출된다. 그러나 감당할 수 없는 무의식의 세계가 가장 이상적으로 드러나는 길은 예술적인 표출이다. 본고는 그런 선상에서 작중인물 분석에 임했다. 프로이트는 언캐니를 ‘낯익은 것의 소외’다고 말했다. 이광수의 소설<길놀이>의 주인공에게서 이런 소외의식의 특징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이광수의 소설 <길놀이>에서 ‘나’는 이쪽에서도 저쪽에서도 안주하지 못하는 불안한 심리 상태에 놓여 있다. 이광수 후기단편소설 <길놀이>에 나오는 주인공은 초현실주의자들의 언캐니 상태에 곧잘 빠져든 것이다. 이는 프로이트의 ‘낯익은 것의 소외’가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나’는 상징계적 질서의 세계에 적응하고 싶지만 트라우마나 존재론적 불안으로 인해 정상적으로 그 세계에 발을 들여놓지 못하고 있다. 그러한 실패는 상상계로 돌아가 무의식에 억압되고 <난제오>에서 ‘나’는 종로거리에서 무수히 많은 사람을 바라보면서 모두가 자신 같다고 느낀다. 이광수 후기 단편소설 작중인물들은 하나같이 배척이라는 타자 불인정으로 드러나고 있다. 작가 이 광수는 11세에 양부모(아버지와 어머니)를 잃었다. 프로이트의 정신성적 발단단계에서 11세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극복하고 잠복기상태에 놓여 있다. 이 시기는 외부적으로 성적 충동이 표출되는 일이 잘 일어나지 않고 공상, 환상, 놀이, 장난으로 본능적 욕구를 많이 발산하는 시기이다. 특히<상근령의 소녀>는 이 시기의 특징들 중에서도 주로 환상이 두드러진 소설로 이는 작가의 무의식세계가 양부모를 잃은 상태에 고착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크리스는 처녀작이 작가의 핵심 심리가 잘 드러난다고 말했다. 작가의 첫 작품은 아직 미숙하여 작가의 무의식 세계를 정교하게 위장시켜 표현할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이광수의 소설은 그렇지 않다. 후기로 갈수록 등장인물이 진화하지 못하고 퇴행고착화 되어갔다. 그리하여 이광수 후기 단편소설인물들의 퇴행연구는 후기단편만을 분류하여 정신분석학적인 방법론으로 접근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을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광수후기 단편소설인물들의 퇴행연구는 다른 작가의 처녀작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작가의 무의식세계가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더 양부모를 잃은 상태로 퇴행고착화 되어갔다고 할 수 있다.

목차

논문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언캐니(Uncanny) 현상
 Ⅲ. 나르시시즘적인 퇴행
 Ⅳ. 환상적 유토피아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강윤신 Kang, Youn-shin. 건국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