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양적논문

초등학생의 체력 수준에 따른 정신건강 및 학업성취의 관계

원문정보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ysical Fitness and the Mental Health,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장세웅, 정구인, 고전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ed at proving that physical fitness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mental health and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hysical fitness, their mental health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subjects of the study consisted of 269 fifth graders(boys; 135, girls; 134) from three elementary schools in Seoul. The students were subjected to a physical fitness test, mental health test and national level achievement assessment. The resul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generating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As students showed better physical fitness, they demonstrated less ‘anxiety’, ‘depression’, ‘anger’, ‘fatigue’ and ‘confusion’, the factors of negative emotion, and more ‘vigor’, the factor of positive emotion. And the students' total scores for physical fitness were found to be in statistical correlation with ‘vigor’, and in negative correlation with ‘anxiety’ and ‘depression’. Second, As students had higher degree of physical fitness, their scores for Korean language and mathematics, the factors of academic achievement, were higher. Especially their math scores demonstrated big difference. And among the sub-factors of physical fitness, aerobic capacity, muscular strength and muscular endurance showed low but statistical relationships with academic achievement.

한국어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체력과 정신건강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를 분석하여 어린이들의 정신건강과 학업성취도에서 체력의 긍정적인 관련성을 입증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3곳의 5학년 269명(남자 135명, 여자 134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이 학생들은 체력 및 학업성취 관련 자료를 제공하는데 동의하고 검사에 응하게 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체력수준이 높을수록 부정적 정서 상태인 ‘불안’, ‘우울’, ‘분노’, ‘피로’, ‘혼란’ 요인이 낮게, 긍정적인 정서인 ‘활력’ 요인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체력과 정신건강 요인간의 관계는 ‘활력’, ‘불안’, ‘피로’ 요인은 ‘심폐지구력’, ‘근력 및 근지구력’과, 그리고 ‘우울’, ‘혼란’ 요인은 ‘유연성’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둘째, 체력수준이 높은 집단일수록 ‘국어․수학’, ‘국어․수학 평균’ 점수가 높았으며, 특히 ‘체력 상’ 집단과 ‘체력 하’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 체력수준별 학업성취의 차이는 ‘국어’ 성적 보다 ‘수학’ 성적에서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심폐지구력’과 ‘근력 및 근지구력’이 학업성취와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측정 도구
  3. 자료 처리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1. 초등학생의 체력과 정신건강
  2. 초등학생의 체력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장세웅 Jang, Se-Ung. 서울강명초등학교
  • 정구인 Jung, Koo-In. 한국교원대학교
  • 고전규 Ko, Jeon-Gyu. 한국교원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