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질적논문

초등학교 체육수업 내 성 고정관념의 전이 및 재생산, 그리고 교사의 딜레마

원문정보

Transference of Gender Ideologies, Its Re-production, and Teachers' Dilemma in Physic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s

조한무, 임승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From not only educational perspective but also sociological perspective,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how teachers' traditional ideologies have been transferred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exploring the types and contents of gender ideologies that teachers showed in their classes. For this, nine research participants who have more than three-year career in elementary education and are currently elementary teachers were selected. They participated in an in-depth interview an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Hatich's(2002) nine-step deductive data analysis method. As a result, first, it was discovered that teachers' traditional gender ideologies have been transferred to students through interaction with each other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Second, as a type and content of transference of teachers' gender ideology, a controlled grouping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applied game rule application, and different evaluation standards according to student's gender were found. Third, such gender ideologies of the teacher have been transferred to students have eventually reproduced by the students. Fourth,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have been under dilemma between educational goal and gender equity. In this study, we suggest that, based on change of awareness and an effort in subject research of the teachers, mixed physical education and separate education systems are both considerable for the qualified physical education.

한국어

본 연구는 초등학교 체육교과에서 교사가 지니고 있는 전통적 성 고정과념이 초등학생에게 전이되는 유형과 내용을 살펴보고, 이것이 궁극적인 사회적 성 평등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사회학적 관점에서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3년 이상의 경력을 지닌 현직 초등학교 교사 아홉 명과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Hatch(2002)의 귀납적 분석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교사의 성 고정관념은 학생 행동 관리, 학습 피드백 등 학생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언어와 행동으로 전이되는 점이 발견되었다. 구체적으로 교사의 성 고정관념은 남학생의 신체적 능력에 대한 상대적으로 높은 신뢰도, 그리고 여학생에 대한 성에 근거하는 위로와 칭찬 등이 발견되었으며, 이는 학생들의 인식으로 전이 되어 재생산되고 있었다. 둘째, 성 고정관념의 전이 유형 및 내용으로 교사의 인위적인 성 분리 교육운영이 발견되었다. 동일 학급 내 성에 따라 차별화된 과제를 제시하거나 동일과제 수행의 경우에는 학생을 성에 기준한 집단으로 구분하여 수업을 진행하였다. 이어 여학생의 체력적 열세를 배려하기 위하여 체육활동의 규칙을 임의로 변경하고 심지어 평가기준을 차등 적용하는 등 다양한 유형으로 교사의 성 고정관념은 학습과정에서 적용되고 있었다. 셋째, 교사의 성 고정관념은 체육수업을 통해 초등학생들에게 전이되어 궁극적으로 재생산 되어 있는 모습이 발견되었다. 즉, 초등학교 학생들은 교사의 요구에 순응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교사들의 사고방식을 답습하여 이를 자신들의 행동으로 재생산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학생 스스로 성역할을 정해 놓은 후 이행하는 모습과 체육교과에서 여학생의 소극적인 모습이 그 예라고 할 수 있다. 넷째, 교사들은 교육효과와 성 평등의 딜레마 속에서 갈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 구분에 의한 기존의 교육방식을 통해서 수준별 교육이 가능하고, 이러한 교육방식이 교육효과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알고 있지만, 동시에 성차별적 언어사용, 남학생에 대한 역차별 등이 발생하여 선택의 딜레마를 경험하고 있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참여자
  2. 자료 수집
  3. 자료 분석
 Ⅲ. 결과 및 논의
  1. 교사의 성 고정관념
  2. 성 고정관념의 전이 유형 및 내용
  3. 재생산: 초등학생들의 인식 변화
  4. 교육효과 vs. 성 평등: 딜레마 속 대안 찾기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S

저자정보

  • 조한무 Cho, Han-Moo. 경인교육대학교
  • 임승엽 Lim, Seung-Yup. 테네시주립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