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예비교원 글로벌 역량 강화를 위한 교원양성기관의 해외 현장경험 프로그램 분석

원문정보

An Analysis of Overseas Field Experience Programs in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 Focusing on Strengthening Global Competencies of Preservice Teachers

정혜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Understanding the changes in society toward globalization,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try to strengthen the global competencies for preservie teachers. As a part of efforts to reflect the global movement,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have been implemented field experiences overseas programs. The study aimed to analyze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ograms focusing on the aspects of opportunities, challenges, and risks of globalization. As a result, the seven types of the field experience were presented: practicum overseas, practicum in Korean school overseas, observation of practice and experiences of major area overseas, teaching internship overseas, practicum and volunteer in developing country, exchange program, and language practice abroad. It also suggested that the field experience overseas would be critical for preservice teacher to prepare for the global competencies, therefore, the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need to be considered the programs and policies to develop the global competencies for preservice teachers.

한국어

본 논문은 세계화시대와 다문화사회로의 변화에 따라 교원양성기관에서 글로벌 역량 및 국제화 강화를 위해 실시하고 있는 예비교원의 해외 현장경험을 총 7가지 유형으로 분석하였다: 해외 교육실습, 해외 한국(국제)학교, 해외 전공·교육현장 탐방, 해외 인턴십, 해외 교육개발협력 및 봉사, 교환학생, 어학연수. 또한 각 교원양성기관별 해외 현장경험의 특성을 살펴보고, 해외 현장경험 유형을 국제화의 기회, 도전, 위험 측면에서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해외 현장경험의 필요성을 통해 예비교원의 글로벌 역량 함양이 필요하며, 교원양성기관에서 이러한 역량을 배양시킬 수 있는 제도 및 정책을 보다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목차

요약
 I. 들어가는 글
 II. 이론적 배경
  1. 대학교육에서의 세계화, 국제화
  2. 대학교육에 미친 국제화의 영향력
  3. 정부의 대학 국제화 정책
  4. 대학교육의 국제화 현황
  5. 교원양성기관과 글로벌 역량
 III. 교원양성기관의 해외 현장경험 프로그램 운영사례
  1. 프로그램의 선택
  2. 프로그램의 분석
 IV. 교원양성기관의 해외 현장경험 프로그램의 유형별 분석
  1. 해외 교육실습
  2. 해외 한국(국제)학교 실습
  3. 해외 전공 및 교육현장 탐방
  4. 해외 인턴십·연수·취업
  5. 해외 교육개발 협력 및 봉사
  6. 교환학생
  7. 해외 영어 연수
 V. 교원양성기관별 해외 현장경험 프로그램 특징 분석
 VI.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혜영 Chung, Hye-Young. 이화여자대학교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