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역사와 사상

한국의 가족주의 경영에 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Korean Style Family-owned Management

이재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is designed to find out how the Korean style family-owned business started and its characteristics. Some Western scholars themselves witnessed a remarkable economic development in Confucianism-influenced countries in Asia during the 1980s and suggested so-called 'Confucianism capitalism' as a pivotal driving force of that success. To explain their theory, they pointed out education, close relationships between government and company, familism, moral or ethical social relations, diligence, savings, social trust, a strong intimacy of culture. But, in the 1990s Japan has suffered from their long-term economic depression and Korea had to get IMF bailout, they once again picked up some causes such as favoritism, party by faction, corruption, government-led regulations, a strong hierarchy system and the resulting poor creativity and crony capitalism for those problems. They argue that some merits which have been largely contributed to their economic development among paternalism, cronyism or collectivism are now inevitably replaced by professionalism and expertise. However, the massive layoff and problems incurred by the financial crisis have brought about more social costs and especially CEOs of many companies had to focus their attention on the immediate profits of their shareholders, far away from setting up long-term visions. We could see a typical case of that in 'NOKIA.' The company's management moved towards only for the profits of 'the owner' and 'shareholders' and it finally made the top heads of the company concentrated on cost-savings, and finally falling. Considering it, I think the family-owned business needs to be studied in a new way.

한국어

이 논문은 가족주의 기원과 가족주의 경영의 특징을 밝힌 글이다. 주지하다시피 80년대까지만 해도 유교문화권의 눈부신 경제성장을 두고 서구의 학자들은 경제발전의 동인(動因)으로 ‘유교자본주의론’을 제기하였다. 그리고 유교자본주의론에서 유교문화의 특징으로 교육의 중시, 정부와 기업과의 긴밀한 관계, 가족주의, 도덕 윤리적 사회관계, 근면, 저축, 사회적 신뢰, 강한 문화적 동질감 등을 들었다. 그러나 90년대 들어 일본 경제의 침체와 한국의 IMF 구제금융 등 아시아에 경제위기가 닥치자 서구학자들은 인맥 − 연줄이 빚은 파당정치와 부패경제, 국가주도의 갖은 규제, 서열의식에 따른 창조성 빈곤, 개인적인 친소관계를 중시하는 ‘정실 자본주의(crony capitalism)’가 오늘의 위기가 초래했다고 꼬집었다. 즉 그동안 장점으로 여겨졌던 ‘소속의식, 서열의식, 집단주의, 온정⋅권위주의’ 등 가족주의 요소가 이제는 전문성과 전문지식을 중시하는 전문경영인 시대가 도래 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구제금융을 겪으면서 야기된 대량해고와 그에 수반된 갈등은 더 많은 사회적 비용을 초래하였으며, 특히 전문 경영인은 주주의 이익에만 치중하다 보니 먼 미래를 내다보고 회사를 경영할 수 없게 되었다. 이러한 대표적인 사례로 ‘노키아’를 들 수 있다. 노키아는 전문경영인이 회사를 경영하면서 ‘사주’와 ‘주주’의 눈앞의 이익에만 우선하다보니 긴 안목에서 회사경영을 꾀하지 못하고 오로지 비용절감에만 신경을 쓰다 몰락하고 말았던 것이다. 이런 점에서 오늘날 다시금 가족주의 경영에 대한 새로운 검토가 있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목차

<논문 요약>
 Ⅰ. 머리말
 Ⅱ. 가족과 가족주의 개념
 Ⅲ. 가족주의 경영문화와 한국
 Ⅳ. 맺음말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재석 Jae-Seok Lee. 영산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