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벤담과 밀의 공리성과 정의(justice)의 관계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Research on Ethics Class Model through Reading

장정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essay aims to explore a relation between utility and justice in Bentham and Mill, which enables us to connect the elements of goodness in the area of the greatest happiness with those of right and wrong in that of justice in utilitarianism.
Bentham and Mill, first of all, try to establish the principle of utility, in particular, for maximizing social happiness. It is their works that improve mental environments and degrees of individuals from the 18th to 19th century in England. Acting to maximize general happiness and producing the greatest happiness are the core notion of utilitarian justice: praising those who produce the greatest happiness, but punishing those who harm to others.
In Bentham, the conception of punishment is the key way to transform the evil to be happiness, even if it is the necessary evil in itself. Mill considers the importance of the first moral principles like rights and equality which have historically developed in the minds of human lives as the sense of justice. In Mill, unless an agent was protected in exercising his/her rights, any invader must be punished for improving social happiness of higher quality.
To sum up, it would be made an obvious conclusion that the problem of punishment is one of main roots to produce the greatest and highest happiness of the greatest and highest numbers.

한국어

이번 연구에서는 벤담과 밀의 공리성과 정의의 관계를 탐구한다. 이는 공리주의에서 삶의 궁극적 목적으로서 최대 행복(선의 문제, 윤리의 영역)과 이를 산출하기 위한 올바른 행동(정의의 문제, 도덕의 영역)의 관계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탐구하는 것이었다.
벤담과 밀 모두 사회적 행복을 위한 공리성의 원리를 주장하였다. 이들의 공리주의적 목표는 18~19세기 영국 사회의 행복을 증진하는데 있었다. 쾌락의 증가와 고통의 감소를 추구하는 행동의 목표는 행복 산출이다.
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어떤 종류의 행복을 함께 추구할 수 있는 사회에 서 삶을 영위하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공리주의의 정의는 옳은 행동을 한 개인과 그가 속한 개인들의 행복을 최대한 산출하는 것이고, 그른 행동을 한 그와 그들에게 고통을 가하는 것이다.
벤담에게서 처벌은 필요악이었지만, 어떻게 이러한 악들을 사회적 행복으로 전환시키는지가 처벌의 궁극적 목적이었다. 밀은 실제에서 역사적으로 개개인의 권리와 평등을 보호하기 위한 처벌을 중요하게 보면서, 질적인 최대 행복의 산출은 권리와 평등과 같이 한 사람이 본래 갖고 있는 것을 동등하게 고려할 때에만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간단히 말해, 벤담과 밀의 처벌에 대한 문제는 최대 행복의 원리의 근본적인 토대였다고 할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벤담의 공리성과 정의
 Ⅲ. 밀의 공리성과 정의
 Ⅳ. 벤담과 밀의 공리주의적 처벌과 행복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장정훈 Jang, Jung-Hun. 서울문영여자중학교 교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