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일 양국의 喪禮儀式에 나타나는 社會文化的 意識 비교

원문정보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n Funeral Service(Sangnyeuisik) between Korea and Japan

한일 양국의 상례의식에 나타나는 사회문화적 의식 비교

이경아, 안병곤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Funeral service or Sangnyeuisik is a cultural ritual of death that was created by human beings; such a cultural ritual is inevitably affected by changes of consciousness toward social environments or cultural patterns. This study looked into social and cultural features through attitude surveys that internally and externally showed a series of Korean and Japanese bereaved family's behaviors in Sangnyeuisik. As a result, it was witnessed that Korea seemed to recognize the significance of calling back the spirit of a deceased person in the ritual, simplify styles of mourning clothes in line with the social system, and prefer a convenient method in informing someone's death to the neighborhood, or obituary notice; and Japan seemed to emphasize its traditionality; and to some extent both countries put meanings on incenses and candles, which are considered holding a spirit, in setting a altar. However, there was social and cultural difference in an ancestral tablet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the case of Japan, this study uniquely found that the Japanese did not carve the dead's name before his/her death on an ancestral tablet, but carved a newly designated name after his/her death, or Kaimyo, on it, which was considered as an important ritual step. To express one's condolence, the Korean do it in an active way while the Japanese do it in a static way. The fact that the level of sadness in Japanese ritual seems more deepened represents an unexpected result against the Japanese after -death notion closely related to ornament Buddhism. Additionally, the Japanese more likely make a condolence call than the Korean because they feel more stress of loyalty and sense of obligation; this means that the Japanese more likely tend to be constrained by their social system along with acquaintance-based social atmosphere compared with the Korean.

한국어

상례의식은 인간이 만들어 낸 죽음의 文化儀式이고, 이 문화의식은 사회환경이나 문화 양식에 대한 意識이 변하면 영향을 받아 변하지 않을 수 없다. 본 연구는 상례의식에서 한일 양국 생자들이 행하는 행위에서 내ㆍ외적인 표현을 意識조사를 통해 사회문화적인 특징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죽음의 알림에서 혼부르기 의식의 필요성 인식, 사회제도로 인한 상복의 간소화, 부고전달에서 편리함을 선호하는 한국, 전통성을 중시하는 일본의 사회모습이 나타났다. 제단차림에서 향과 촛불은 혼을 모셔두기 위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하지만 위패에서 한국과 일본의 사회문화적인 두드러진 차이를 보였다. 일본은 위패에 고인의 생전 이름이 아닌 사후의 이름인 가이묘(戒名)를 쓴다는 특이점을 발견할 수 있으며 일본인들
은 가이묘(戒名)짓기를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애도방식에서 슬픔의 표현이 한국은 動的, 일본은 靜的으로 나타났다. 장식불교에 따른 일본인은 슬픔의 정도가 비극적으로 나타나지 않을 거라 예상했지만 사후관념에 反하는 의외의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문상이유가 일본은 한국에 비해 의리와 의무감 때문이 월등히 높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친분에 의한 인간관계 外에도 사회적 도리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문상하고 있음으로써 사회적제도에 한국보다 더 얽매이는 특징이 나타났다.

목차

1. 서론
 2. 한일 양국 사회에서의 상례의식
 3. 상례의식에 나타나는 사회문화적 意識
  3.1 죽음의 알림
  3.2 제단 차림
  3.3 애도 방식
 4. 결론
 參考文獻
 要旨

저자정보

  • 이경아 경상대학교 일본학과 박사과정
  • 안병곤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일어교육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