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체력관리

발레 기초동작 연습이 초등학생의 보행패턴과 지면반력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Effects of Ballet Exercise on the Gait Pattern and Ground Reaction Force in Elementary Schoolchild

이기청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basic ballet practice on walking pattern and type of ground reaction force for elementary students. [METHOD] 16weeks ballet program was conducted with practice group and non practice group, consisting with 3 low elementary students for each group.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 test for step length and step width, change of body center position, upper body angle, impulse and maximum impact force were examined by using 3 dimension cinematography and ground reaction forc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and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 were conducted using PASW. [RESULT] First, basic ballet practice influenced to increase stability for children's step and muscle training showed a significant effect. Second, basic ballet practice resulted unstable step with left and right movement by influencing left and right of the center of gravity, and left and right of upper body angle from the practice. Also, there was a inter-relation among step width, left and right of the center of gravity, and left and right of upper body angle. Third, basic ballet practice helped stable step because of its effect on ground reaction force peak. [CONCLUSION] Basic ballet practice for children increased stability of step and control ground reaction force peak for step. In turn, basic ballet practice has much change of left and right which results on shakily walking and may has negative effect on step.

한국어

[서론] 이 연구의 목적은 발레 기초동작 연습이 초등학생의 보행패턴과 지면반력의 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방법] 초등학교 저학년의 연습집단과 비연습집단 각각 3명씩을 대상으로 16주간의 발레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3차원 영상분석과 지면반력분석을 이용하여 각각 5회씩을 분석하여 연습 전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보폭 및 보간, 신체중심의 위치변화, 상체각도, 충격량과 최대충격력을 분석하였고, 연습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PASW(Predictive analytics software) Statistic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분석요인의 사전, 사후의 측정시기와 그룹간의 처치를 독립변인으로 한 이원반복변량분석(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발레 기초동작 연습이 아동들의 보행에 안정성을 높이며 근력훈련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발레 기초동작 연습은 무게중심의 좌․우, 상체 몸통각의 좌․우 영향을 주어 좌․우 움직임이 많은 것으로 불안정적인 보행을 하게 한다. 또한, 보간과 인체 무게중심의 좌․우, 상체 몸통각의 좌․우 간에는 상호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발레 기초동작 연습은 지면반력의 피크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아동들의 터벅터벅 걸음을 하지 않고 안정적인 보행에 도움을 준다. [결론] 성장기 아동들의 경우 발레 기초동작 연습은 보행의 안정성을 높이고 지면반력의 피크를 조절하여 보행의 도움을 얻는다. 반면 좌․우 변화가 많아 팔(八)자 유형의 보행 패턴이 나타날 수 있다.

목차

초록
 서론
 연구 방법
  연구대상
  실험 장비 및 실험 절차
  발레 프로그램
  각도 정의
  통계 처리
 결과 및 논의
  보간 및 보폭
  무게중심의 위치 변화
  상체각도의 변화
  지면반력의 변화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기청 Lee, Ki-Chung. 춘천교육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