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震黙禪師遺蹟攷』에 보이는 經典名과 그 의미

원문정보

『진묵선사유적고』에 보이는 경전명과 그 의미

이선이(태경)

한국정토학회 정토학연구 제16권 2011.12 pp.309-337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ales were an type of literature formed naturally with in the communalism.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in Korean history's three kingdom period gave rise to a many fables. Probably, the most important role of many Buddhism tales is complying to people's demands about real-life problems. The story of Jinmook(1562-1633) is representative tales based on the sūtra that scripture of buddhism. 󰡔Jinmooksuensayujukgo󰡕 written by Choui says that hetu-saṃskāra of karuṇā-puṇḍarīka-sūtra is equal to hetu-saṃskāra of Jinmook. Deep connection of vyākaraṇa is revealed that the emerging of the Śākya-tathāgata in the corrupt world. The Buddhist saint following the vyākaraṇa observe that abstaining the four idle law and acting the four training law. As a result, puṇḍaīka of maitrya blooms in the secular world. The Emerging of Śākya-tathāgata is the merciful Bodhisattva as well as the emerging of preaching Śākya-muni in the Gṛdhrakūṭa. It was Jinmook that the emerging of Śākya-muni in this eastern land.

한국어

설화는 공동생활 속에서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된 문학의 일종이다. 우리나라는 삼국시대에 불교가 전래된 이후에 불교와 관련한 많은 설화를 탄생시켰다. 불교설화는 민중들이 요구하는 현실적인 문제들을 담아내는 것이 가장 중요한 역할일 것이다. 진묵스님(1562-1633)의 이야기는 경전에 근거하며 불교사상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대표적인 설화이다. 초의스님의 󰡔진묵선사유적고󰡕에서는 󰡔비화경(karuṇā-puṇḍarīka-sūtra)󰡕의 인행과 진묵대사의 인행이 같다고 경전(sūtra)으로 증거를 들고 있다. 수기의 인연은 오탁악세에서 석가여래(Śākya-tathāgata)의 화현으로 드러난다. 수기를 받는 보살은 4가지 게으른 법은 말아야 하고 4가지 정진하는 법은 수행해야 한다. 이 결과 중생(bahujana)의 예토에서 자비(maitrya)의 하얀 연꽃[puṇḍaīka]을 피운다. 화현하는 석가여래는 자비의 대비보살로 영취산(靈鷲山 Gṛdhrakūṭa)에서 설법하는 석가모니의 화현인 것이다. 이 석가모니(Śākya-muni)의 화현이 이곳 동쪽나라에서는 바로 진묵스님이다.

목차

한글요약
 Ⅰ. 시작하는 말
 Ⅱ. 『震黙禪師遺蹟攷』와 편찬자
  1. 『遺蹟攷』의 구성과 특징
  2. 『遺蹟攷』를 만든 사람들
 Ⅲ. 經典과 釋迦如來의 因地
  1. 『悲華經』의 구성
  2. 釋迦如來因地와 진묵의 因地
 Ⅳ. 小釋迦로 화현하는 진묵
 Ⅴ.맺는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선이(태경) Lee, Sun-yi(Tae-kyung). 홍익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