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

청소년 도덕 감수성 진단 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원문정보

A Preliminary Study on making Tool for the Moral Sensitivity Test for Korean Adolescents

홍성훈, 최창욱, 박균열

피인용수 : 1(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research aimed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ool to measure the moral sensitivity of adolescents. The moral sensitivity refers to the capability which it corresponds to the first component among 4 component model which J. Rest suggested, and it is well conscious of the moral problem that it is contained in the certain aspect, it interprets the situation, and can count in advance whether its own action has any kind of effect an effect on the others. The past researches pertaining to do the moral action has suggested fact perception sensitivity, consequence perception sensitivity, and responsibility perception sensitivity as the sub-factor of the moral sensitivity. Then this research implemented these three factors in the three moral conflict dilemma stories. To verify reliability, removing the false respond needs two levels. At the much higher condition, the internal consistency was highly shown up as 0.84. In the preceding research,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 verification of already clarified three sub-factors. Consequently, because relatively one dilemma had the aberrant item much, it was removed. The level of understanding and interest were also good. In the subsequent study, in order to supplement the limitation of this research, it is very necessary to remake the dilemma story extensively, complement the principle of constructing dilemma, will show the well-organized questionnaire on moral sensitivity.

한국어

본 연구는 청소년의 도덕 감수성 측정 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작업으로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도덕 감수성은 J. Rest가 창안한 4구성요소모형(The Four Component Model) 중의 제1요소에 해당되며, 특정 상황 속에 내포된 도덕적 문제를 잘 지각하고, 상황을 해석하며, 자신의 행동이 타인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미리 헤아릴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도덕적 행위를 하기 위한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도덕 감수성의 하위요소로 사실지각 감수성, 결과지각 감수성, 책임지각 감수성으로 선정하고, 이를 가치갈등을 담고 있는 세 가지의 딜레마를 통해 측정하였다. 신뢰도 검증을 위해 두 가지 기준에 의해 허위 반응자를 제거했는데, 높은 수준의 기준에 의하면 내적 일치도는 .84로 높게 나타났다. 선행연구에서 이미 밝혀진 세 가지의 하위요소에 대한 검증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했는데, 그 결과 한 개의 딜레마가 부적절 문항을 상대적으로 많이 갖고 있어서 제거하게 되었다. 검사지에 활용된 딜레마에 대한 이해도와 흥미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후속 연구에서는 예비 연구인 본 연구의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해, 딜레마 스토리를 전면적으로 재검토하고, 딜레마 구성원리를 일부 보완해서, 최종 검사지 시안을 제작하고자 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는 말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내용 및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홍성훈 Hong, Seong-Hoon. 여주대학교 보육과 교수
  • 최창욱 Choi, Chang-Wook.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위원
  • 박균열 Park, Gyun-Yeol. 경상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1도덕판단력 측정에 대한 고찰 : DIT와 MJT를 중심으로네이버 원문 이동
  • 2문미희 (2004), “사범대 학생을 위한 인권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3문용린 (1988), 『도덕과교육론』, 갑을출판사.
  • 4문용린 (2002), 『인권감수성 지표개발 연구』, 국가인권위원회.
  • 5박균열`홍성훈`서규선`한혜민 (2011). 『청소년 도덕성 진단 검사도구 표준화 연구: 도덕적 감수성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6박병기 외 (2011), “청소년 도덕성 진단 검사도구 표준화 연구Ⅰ: 도덕적 동기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7이인재 외 (2011), “청소년 도덕성 진단 검사도구 표준화 연구Ⅰ: 도덕적 판단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8이인재 외 (2011), “청소년 도덕성 진단 검사도구 표준화 연구Ⅰ: 도덕적 품성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9이지혜 (2005). “도덕민감성 척도 개발 및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10추병완 (1999). 『도덕교육의 이해』. 백의.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